logo

冬天家中的濕度適宜維持在多少才合適呢?

冬天家中的濕度適宜維持在多少才合適呢?

 

如果不開加濕器,通常會出現30到35左右的數值。

真正寒冷的日子會降到30以下。

因此變得乾燥,鼻子也疼痛。

尤其是在早上起床時。

也許是這個原因,孩子們和我都感冒流鼻涕很久了。

 

打開加濕器提高濕度會比較好

當升高約50度時,玻璃窗會出現性霧嗎?結露會產生喔ㅠ

家裡的溫度並不算很高

大家都在什麼程度上保持濕度生活呢?

 

 

6
0
評論 19
  • 個人資料圖片
    깐데또까
    겨울철 실내 적정 습도는 40~60이라도 해요 
      저의는 수건을 걸어둬요... 
    • 個人資料圖片
      구름방울
      作家
      그렇게 맞추면 자꾸 결로가 생기네요
      에휴 쉽지않아요 ㅋ 
  • 個人資料圖片
    오둥씨
    허걱 ㅠ 집안 습도가 많이 건조하신데요.
    글보고 확인하고 왔는데 52%네요~
    실내온도는 21도 이하고요
    저희 집은 가습기 안틀고 있어요. 보일러 온도가
    쪼매 높아서 그런걸까요? 
    저녁에는 가습기 사용하셔야겠네요
    • 個人資料圖片
      구름방울
      作家
      그쵸 ㅠ 그래서 코가 아파요
      근데 습도 올라면 결로가..
      집이 넘 따뜻한건지 ㅠㅠ
  • 個人資料圖片
    땡땡이
    습도를 따로 체크를 하지는 않네요
    50~60도가 좋을것 같은데... 
    집안 습도 그리 안되겠지요
    • 個人資料圖片
      구름방울
      作家
      가습기 안틀면 겨울은 20까지도 내려가더라구요
      가습기 필수입니다  
  • 個人資料圖片
    원희
    겨울철에는 온도가 18~21도
    습도는 40퍼 정도가 좋다고 하네요
    집 환경에 따라서 조금은 다를 수 있을거 같아요
    • 個人資料圖片
      구름방울
      作家
      온도가 좀 높긴 하네요
      아이들 있다보니 자꾸 올리게되요
  • 個人資料圖片
    밤톨이군
    저는 방마다 물통 하나씩 두고 몇일마다 물 채워요. 
    또 잠자기전 수건 젹셔서 방마다 걸어두니 훨씬 괜찮더라구요
  • 個人資料圖片
    커넥트
    50정도면 적당하지않을까요 ㅎㅎ
    저희집이 그렇거든요 ㅎㅎ 
  • 個人資料圖片
    지영도영
    집에서 습도를 체크하고있지는 않는데 건조하게 느껴지면 전 가습기나 빨래 널어놓아요
  • 個人資料圖片
    딸둘맘
    겨울철 습도 50~60프로가 적당해요 
    저희큰아이도 비염때문에 건조하면 목도 아프고 코도 아프다고 얘기해요 
    습도관리 꼭 해주고 있어요 가습기 꼭 틀어 놓구요 
    가습기 때문에 창문에 결로가 생기면 가습기 대신 젖은수전 널어놓는것도 효과 있어요 
    가습기 사기전에 사용했던 방법이예요 
    
    
  • 個人資料圖片
    이지혜
    저는 50이 적당하다고 해서 겨울엔 50으로 맞추려고 해요. 가습기 틀어주고 있고 습기 차는 거 같으면 적절히 환기도 시켜주고 있어요.
  • 個人資料圖片
    은하수
    겨울에는 대기의 건조도 심하지만 실내 건조는 더 심한거 같아요
    난방을 하면 습도가 더 떨어지지요
    습하면 피부에도 좋지 않고 구강 코건강에도 좋지 않아서 감기도 잘 걸리게 되는거 같아요
    겨울철 적당한 실내습도는 40~60% 정도 됩니다
    면역력을 유지하고 곰팡이 번식을 막을 수 있는 적정 습도로 맞추시면 좋을거 같아요
  • 個人資料圖片
    하루=즐겁게+행복하게+웃으며✌
    적정습도 40~60인데 
    전 습도계를 사용하지는 않는데요 
    감기 관리에도 습도계를 집에 두면 
    유용할것 같네요 ~
    저도 목이 칼칼할때는 수건을 습도 대용으로사용해요 
  • 個人資料圖片
    공처
    습도 맞추기가 참 힘들어요. 계절도 타고.. 계절이 4등분으로 딱 나눠지는 것도 아니고 ㅠㅠ
  • 個人資料圖片
    케이스
    겨울철에 습도가 낮으면 코가 아플 정도군요 별로 그런 걸 생각 안 하고 살아서 잘 몰랐습니다 다만 수준을 유지하시는게 중요할 것 같네요
  • 個人資料圖片
    오늘도 화이팅^^~
    많이 건조한거 같은데요.
    저는 겨울에는 거실에서 빨래를 말리며 습도를 유지했네요.
    아이들 방에도 숯과 물을 채워 5~60 을 유지하려고 했구요
  • 個人資料圖片
    주안맘0413
    가습이 중요하지만 겨울에 또 심하게 하면 결로가 생기더라구요. 
    저는 그래서 45~50 까지 선에서 유지 하려고 노력해요. 
    가습기의 위치도 중요하더라구요. 창가 쪽은 피하고 안쪽으로 두게 해뒀어요. 
    가습 퍼센테이지 맞추기 어렵죠 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