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걷는 속도가 ‘이 정도’는 돼야, 뇌기능 정상?

걷는 속도가 ‘이 정도’는 돼야, 뇌기능 정상?

김영섭기자 (edwdkim@kormedi.com)
 
 
 
나이가 들어도 건강한 사람은 걸음걸이가 빠르고 힘차다. 보행 속도가 눈에 띄게 느려지고 힘이 없어 보인다면 뇌파 이상을 의심해 볼 수 있다. 미국 건강포털 ‘더헬시(Thehealthy)’에 따르면 60세 이상 건강한 노인의 보행속도는 초당 1m 이상인 것으로 종전 연구 결과 나타났다. 하지만 건강한 노인도 85세 이상이 되면 보행속도가 초당 0.9m 이상으로 느려진다.

그렇다면 나이든 사람의 인지기능에 문제가 생기기 시작하는 보행속도는 대략 얼마나 될까? 영국 애스턴대 노화건강연구센터, 쿠바 장수노화건강연구센터 등 공동 연구 결과에 따르면 60세 이상 노인 중 보행속도가 초당 0.8m 미만인 사람의 약 86%가 뇌파에 이상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걷는 속도가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진 노인의 경우 뇌파의 주파수 구성에 비정상적인 변화가 생기고, 이는 인지기능 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는 뜻이다.

특히 보행속도가 초당 0.6m 미만으로 뚝 떨어지면 요양원·요양병원 입원 및 사망과 연관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독립적으로 생활하고 있는 쿠바 아바나 노인 95명을 분석한 결과다. 이 연구 결과(Association between gait speed deterioration and EEG abnormalities)는 국제학술지 ≪플로스 원(PLOS One)≫에 실렸다.


영국 애스턴대 발리아 로드리게스 박사(신경생리학)는 “보행속도가 초당 0.8m 미만인 사람, 즉 1분에 48m를 채 걷지 못하는 사람은 뇌파에 이상이 생긴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그는 “이는 보행속도가 인지기능 저하의 조기 지표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나이가 들면서 나타나는 작은 변화도 잘 살피는 게 좋다”고 덧붙였다. 평소 걸음걸이가 1분에 60m 이상(초당 1.0m 이상의 보행속도) 걸을 정도로 빠르고 활력이 있다면 뇌가 매우 건강하다고 볼 수 있다. 치매의 초기 증상으로는 건망증, 물건 분실, 방향감각 상실, 적절한 단어 찾기 어려움 등이 꼽힌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또한 보행속도가 초당 0.8m 미만인 사람은 뇌파 이상이 발생할 위험이 3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뇌 기능 장애를 일으킬 위험도 87%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보행속도의 저하와 뇌파의 느린 주파수 구성이 나이든 사람들의 뇌 건강 지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근력은 매년 1.5%씩 감소하고, 60세 이후엔 매년 3%씩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근력은 매년 1.5%씩 감소하고, 60세 이후엔 매년 3%씩 감소한다.

나이 들면 활발한 신체활동과 충분한 영양 섭취 등으로 근

력의 감소폭을 낮춰야 한다.

보행속도가 떨어지는 사람은 뇌파에 이상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근력은 매년 1.5% 씩 감소  그전에 근력 관리 해야죠 

운동하면서 식단관리까지

본인만의 보행속도 확인해 볼필요가 있겠어요

 


7
0
댓글 18
  • 프로필 이미지
    감사와행복
    보행속도 확인  필수네요 저도 나이가있다보니 빠르게 걸으려 신경쓰는데 속도가 어떤지 궁금하네요 정보 감사드리고 맛점하세요 
    • 프로필 이미지
      하루=즐겁게+행복하게+웃으며✌
      작성자
      저희 엄마한테 제가 누누이 얘기 하는 거예요
      좀 천천히 걸으시라고
      차피하다가 너무 종종걸음 걸으시더라구요
  • 프로필 이미지
    비니비니
    보행속도에 관심 귀울여야겠네요
    근력운동도 열심히 하는게 좋죠
    • 프로필 이미지
      하루=즐겁게+행복하게+웃으며✌
      작성자
      근력 운동 너무 많이 나오는 이야긴데요
      정말 해야 되는데 모든 어렵네요
  • 프로필 이미지
    지영도영
    보행속도도 중요하군요
    신경써서 잘 살펴봐야겠어요
    • 프로필 이미지
      하루=즐겁게+행복하게+웃으며✌
      작성자
      보폭도 신경 써가면서 벌어야 될 거 같애요
      현재와 혹시 달라지는 것도 이런 건 신경 안쓰고 살았는데요
  • 프로필 이미지
    은하수
    근력감소 되면 큰일이지요
    근력운동 열심히 해야겠어요
    • 프로필 이미지
      하루=즐겁게+행복하게+웃으며✌
      작성자
      근력 감소 제일 무서워요
      저희 엄마 보니까 정말 1년 반 동안
      확 달라지던데요
  • 프로필 이미지
    신나게💕💕🎶🎶🎶
    그래요 
    건기는 조금바쁘다는 식으로 쭉쭉 걸어야
    되는데
    몸이 안좋은 분들은 집에 누워있는것  보다
    좋으니까 산책도 좋다고 봐요
    • 프로필 이미지
      하루=즐겁게+행복하게+웃으며✌
      작성자
      걷기 쉬엄쉬엄 하는 거 보다
      한 번에 쭉 걸어 주는 게 좀 몸도 따뜻해지는거 같고 좋아요
  • 프로필 이미지
    애플
    보행속도도 중요하군요
    근력관리 하면서 걷기도 좀 빠르게 걸어야죠~
    • 프로필 이미지
      하루=즐겁게+행복하게+웃으며✌
      작성자
      보행속도는 생각 안해 봤는데요
      이제는 걷기 할 때 좀 생각 좀 해야겠어요
      
  • 프로필 이미지
    초코빵쟁이
    그냥 나이들면 힘도 근육도 줄어서 
    속도가 느려지는줄 알았는데
    그것만은 아니군요.
    걷는 속도가 원래 느린편인데 빨리 걸으려 노력해야겠어요.~~~
    • 프로필 이미지
      하루=즐겁게+행복하게+웃으며✌
      작성자
      저도 걷게 할 때 천천히 느긋하게
      걸어가는 편인데 이제는 좀 신경 써가면서 빠르게 걸어야겠어요
  • 프로필 이미지
    깐데또까
    보행속도도 중요하네요
    원래 걸음이 느린편이라 최선을다해
     보폭도 넓게 빨리걷기해주려고
     노려중이예요
    • 프로필 이미지
      하루=즐겁게+행복하게+웃으며✌
      작성자
      넓게요?
      그냥 걸음수만 챙겼는데요 ㅎ
      걷는것도 엄청 신경 써야하는군요
  • 프로필 이미지
    아침햇살77
    걸음 속도도 중요 하군요
    자료 좋네요
    • 프로필 이미지
      하루=즐겁게+행복하게+웃으며✌
      작성자
      운동도 걷는 속도가 중요한 거 같아요
      잘 기억하다가 걸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