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젓가락 설거지’ 잘못했다가 가족이 ‘간암’ 걸렸습니다… 충격 사연

 

많은 사람들이 한 번에 젓가락을 잡고 문질러 세척하는데 익숙하다. 그러나 독성학 전문가들은 이것을 완전히 ‘잘못된 세척법’이라고 밝혔다.

7일(현지시간) 태국 매체 사눅(Sanook)에 따르면 대만 타오위안 시의 병원 린커우 창국 기념병원(Linkou Chang Gung Memorial Hospital)의 임상 독성학과 전문 간호사 Tan Dunci는 의학과 건강에 관한 프로그램에서 젓가락을 올바르게 청소하는 방법에 대해 연설했다.

그녀는 젓가락에 수평 홈이 있는 경우가 많다고 말하며 “절개 부위를 따라 씻어야 한다. 그런 다음 모든 젓가락을 일직선으로 여러 번 문지릅니다”라며 “하나씩 씻는 것을 잊지 말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무늬가 있거나, 금속 젓가락인 경우 부드러운 스펀지를 사용해 젓가락을 세척하는 것을 추천했다. “무늬가 있으면 벗겨질 수 있고, 금속 젓가락이면 긁힐 수 있어 독소가 몸 안에 들어오는 원인이 된다”라고 전했다.

 
특히 중국의 한 사연에 의하면 평소 사용하던 대나무 젓가락이 쉽게 곰팡이에 감염되고 더러워져 가족 중 ‘간암’이 발생한 사례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나무 젓가락에서 곰팡이 등 독소 ‘아플라톡신’은 간에 매우 해롭고 발암물질로 지정되어 있다.

연구에 따르면 ‘아플라톡신’은 ‘비소’보다 독성이 68배나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멜라민이나 플라스틱 젓가락은 열에 매우 약하기 때문에 변형되기 쉽다. 이는 간과 신장에 해로운 물질을 방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멜라민 식기는 표면적으로 100도가 넘는 고온에 견딜 수 있지만, 실제로 사용하면 40~50도에서 분해되기 시작할 수도 있다”라며 “멜라민 식기에는 끓는 국물을 넣어서 안 된다”라고 알렸다.

 

<출처 논현일보> 

3
0
댓글 11
  • 프로필 이미지
    임★선
    그렇군요 아무래도 플라스틱 재질을 갖고 있는 젓 젓 젓가락은 쓰지 않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저는 쇠를 쓰거든요
  • 프로필 이미지
    구름방울
    전에도 이런 내용 본적 있어요. 요리용 나무젓가락이라 해도 오래 사용하다보면 끝이 마모되고 색이 변하기도 하죠. 그럼 버려야하는데 오래 쓰시는 분들 많더라구요 ㅠ
    저도 이걸 알고 난 후로는 자주 바꾸고 있어요
  • 프로필 이미지
    미리내♡♡♡
    대나무 젓가락은 물기가 닿으면 곰팡이나 세균 번식이 있을 수 있지요.
    젓가락 세척도 꼼꼼하게 해야겠군요.
  • 프로필 이미지
    들꽃7
    저도 나무젓가락 잘 안쓰려고하네요 
    특히 라면 젓가락이 최악이라던데 잘 보고 갑니다 
  • 프로필 이미지
    신나게💕💕🎶🎶🎶
    뭐던지 쉽지가 않네요 
    꼼꼼하게 살피고 생각하고 살림살이을
    해야겠어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담율로
    할. 설거지도 완전 꼼꼼하게 해야겠어요
    간암이 왠말입니까
  • 프로필 이미지
    저녁노을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멜라민 식기에 끓는물을 넣으면 안되는거네요
    오늘 새로운 사실 배웠습니다.
  • 프로필 이미지
    HJ♡
    실리콘 소재는 괜찮은걸까요?! 
    요리용 긴젓가락 뒤집개 국자 실리콘 소재로 다 바꿨는데..
  • 프로필 이미지
    김미정
    정보감사합니다.되도록이면 수저는 유기를사용하는게 좋더라구요.균에 강하다한데요.
  • 프로필 이미지
    냥이키우기
    몰랐던 정보인데 정보감사합니다잘보고갑니다
  • 프로필 이미지
    아침햇살77
    대나무도 표백제등 조심해야 할거같아요//
    이것도 조심대상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