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하루 한번 실컷 웃으면 의사를 멀리한다… ‘웃음’의 진짜 효능

하루 한번 실컷 웃으면 의사를 멀리한다… ‘웃음’의 진짜 효능

 

실컷 웃으면 보약보다 낫다, 면역력 상승!

사람이 웃을 때는 얼굴에 있는 15개의 근육이 움직이며, 특히 포복절도할 때엔 신체 내부기관이 진동하면서 혈액순환이 잘 되고, 호흡량도 늘어난다. 20분 동안 웃는 것은 3분 동안 격렬하게 노 젓는 것과 운동량이 비슷할 정도이다.

과학자들은 웃고 나면 면역력이 높아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사람들이 개그 프로그램을 보고 나면 우리 몸의 군대격인 백혈구와 면역글리불린은 많아지고, 면역을 억제하는 코르티졸과 에프네피린이 줄어든다. 또한 웃는 동안 뇌에서 엔돌핀과 엔케팔린 등의 물질이 나와 고통이 줄어들고 스트레스가 풀린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웃음의 매커니즘, 왼쪽 전두엽과 관련

사람이 어떻게 웃게 되는지, 구체적인 매커니즘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과학자들은 왼쪽 전두엽의 아래와 뇌중간 윗부분이 겹치는 영역이 웃음을 관할한다고 본다. 이 부분은 이성적 판단을 주관하는 전두엽과 감정을 맡는 변연계가 만나는 곳이다. 이 곳은 도파민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이 많은 신경세포들로 빼곡히 차있다.

미국 UC샌프란시스코 연구팀은 16세 소녀의 왼쪽 전두엽을 전기로 자극했더니 약한 전류에선 미소를 지었으며, 강한 전류에선 깔깔 웃으며 쾌활하게 행동했다고 '네이처'지에 발표한 바 있다.

◆ 그럼 가짜 웃음은? 일부러 웃어도 건강에 좋아!

미국에선 수많은 병원에서 유머도서실과 유머이동문고 등을 운영하고 있다. 뉴욕의 콜럼비아장로교병원에선 코미디치료단까지 발족했고, 하버드대에선 '유머 치료'를 주제로 대규모 심포지엄도 열렸다. 우리나라에선 유머 치료를 도입한 병원은 없지만, 가정에 중환자가 있을 경우 재미있는 얘기를 들려주고 즐거운 비디오를 보여주는 것이 도움이 된다.

그렇다면 억지로 웃는 것도 효과가 있을까? 미국 UC샌프란시스코 연구팀은 "사람이 특정한 감정표현을 흉내 내면 몸도 거기에 따른 생리적 유형을 띤다"면서 일부러 웃는 것이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강조했다. 스트레스 상황에서 억지로 웃는 것은 스트레스가 될 수 있지만, 재미있는 이야기에 과하게 웃어주거나, 자주 웃는 표정을 연습해보는 것도 건강에 도움이 된다.

1
0
댓글 7
  • 프로필 이미지
    구름방울
    맞아요 가짜 웃음도 효과가 좋다고 하더라구요
    웃으면 복이와요~~ ㅋ 
    • 프로필 이미지
      박효정
      작성자
      가짜웃음이라도 열심히 웃어봐야겠어요 ㅎㅎㅎ
      
  • 프로필 이미지
    sun flower
    웃으면 복이 온다지요. 알고 있었던 사실인데도 요즘 웃을 일이 별로 없네요.  억지로라도 웃어야겠어요.
    요즘 몸이 너무 좋지 않아서 힘들거든요.
    • 프로필 이미지
      박효정
      작성자
      맞아요 억지로라도 웃어보아요~
      그러면 몸도 좋아시질 거에요~
      화이팅입니다~~
  • 프로필 이미지
    원희
    저도 일부러 웃긴거 찾아보며 웃어요
    건강에 좋다더라구요 
    • 프로필 이미지
      박효정
      작성자
      저도 웃긴거 찾아보게 되네요
      그만큼 웃을 일이 없다는 거겠지요~
      힘내시고 화이팅하시길 바랍니다~
  • 프로필 이미지
    아침햇살77
    웃음의효과같네요
    글 잘 본았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