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더우면 약·영양제도 상한다… 냉장고 넣어두면 안전할까?

더우면 약·영양제도 상한다… 냉장고 넣어두면 안전할까?

고온다습한 여름엔 음식이 잘 상한다. 약도 예외는 아니다. 변질된 약은 약효가 사라지거나 변질돼 오히려 건강을 해칠 수 있다. 제대로 보관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받아온 지 얼마 되지 않은 약이어도, 처음 받았을 때와 색·모양·냄새가 다르다면 상한 것일 수 있다.

 

▲하얀색이었던 알약이 누레지거나 분홍빛으로 변한 경우 

 

▲가루약이 뭉친 경우 

 

▲연질캡슐 내용물이 흘러나와 끈적끈적해진 경우 

 

▲캡슐 내용물이 터져 주변 약에 묻은 경우 

 

▲약이 부풀어 오르거나 갈라지는 경우 

 

등이 대표적인 약 변질 의심 사례다.

비타민, 유산균, 오메가3, 항생제, 시럽제 등은 고온다습한 날씨에 특히 취약하다. 고온다습한 환경에 노출된 약은 약효가 사라지는 경우가 많다. 예컨대, 신경안정제나 골격근 이완제 등으로 사용하는 ‘디아제팜’은 섭씨 36도 이상일 때 약효 25%가, 항정신성 먁물인 ‘로라제팜’은 75%가 손실된다. 긴급 상황에 복용하는 약이 변질됐다면 환자가 위험에 처하기도 한다. 혈관확장제 니트로글리세린은 협심증 환자의 긴급 상황에 사용되는데, 습도에 취약해 잘 변질된다. 변질돼 약효가 사라진 것을 모르고 투약하면 환자는 생명을 잃을 수도 있다.

그렇다고 약을 냉장고에 보관하는 게 능사는 아니다. 듀악겔 등 여드름 연고처럼 냉장 보관이 필수인 일부 약을 제외하면, 대부분 약은 직사광선이 없는 25도, 습도 60% 이하의 서늘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해야 한다. 더운 날에만 냉장고에 넣었다가 빼는 것도 안 된다. 온도 차를 겪으면서 변질될 위험이 커진다. 에피네프린은 고온과 저온에 반복해 노출되면 약효 64%가 소실된다고 알려졌다. 약은 성분이나 제형에 따라 적정 보관 온도와 습도가 다르므로 정확한 보관법을 약사에게 문의하도록 한다

3
0
댓글 6
  • 프로필 이미지
    저녁노을
    알고 있으면 유익한 정보네요
    숙지하고 올바른 복용법을 알고
    약도 먹어야겠어요
    • 프로필 이미지
      박효정
      작성자
      요즘 너무 더우니 이런 정보들도 있더라구요.
      보통 상온에다 많이 두다보니 알아두면 좋을 것 같아요.
  • 프로필 이미지
    해피혀니
    와! 정보 감사합니다
    제대로 알고 보관해야 겠어요
    • 프로필 이미지
      박효정
      작성자
      도움되셨다면 다행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해요
  • 프로필 이미지
    bi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약도 제대로 보관해아겠네요
  • 프로필 이미지
    아침햇살77
    약이라고 왜 안전 하겠어요>>
    조심합시다..약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