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한달째 안 낫는 외이도염, 좋은 방법 없을까요?

한달째 안 낫는 외이도염, 좋은 방법 없을까요?

외이도염은 귀 바깥귀길에 생기는 염증으로 여름철에 많이 걸리는 질환이에요.

 

평소에 귀를 면봉으로 파진 않는데 지난번에 귀가 너무 간지러워서 무의식적으로 귀를 많이 후비고 만졌는데 그게 원인이 됐던 것 같아요.

처음에는 집게 모양의 귀이개로 귓벽은 건드리지 않고 귀지만 제거했었는데, 그 뒤에도 이상하게 귀지가 계속 계속 생기더라고요. 나중에는 귓속 안에 딱지가 생기고 그 딱지가 아물지 않았는지 급기야 노란 진물이 찼어요ㅠㅠ

알고보니 귀지가 아니고 염증으로 인한 각질이었더라고요..

귀 안에서 진물이 찌걱거리길래 후다닥 이비인후과에 갔더니 급성 외이도염 진단받았어요.

먹는 약과 귀에 넣는 물약을 처방받아왔는데 생각보다 빨리 안 낫네요..

약은 다 먹었는데 귀가 여전히 너무 너무 간지러워요. 

평생 중이염 한 번 걸려본 적 없고 면봉으로 귀를 쑤시지도 않았는데 갑작스런 외이도염으로 엄청 불편해요.

 

한달째 안 낫는 외이도염, 좋은 방법 없을까요?

한달째 안 낫는 외이도염, 좋은 방법 없을까요?

처음엔 병원에서 약 처방받고 연고 바르면 금방 나을 줄 알았거든요. 

진물은 이틀 후에 바로 멈췄는데 한 2주 반까지는 각질과 딱지가 계속 나왔고

현재는 한 달째인데도 아침에 일어나보면 귀 각질이 꾸준히 일어나요.

다행히 아프진 않지만 지금도 종종 간지럽고요.

각질이 생기면 간지러우니까 자꾸 손이 가는데, 저 각질을 무리하게 떼내면 딱지->진물이 되는 거더라고요ㅠ 

그래서 더 심해질까봐 그냥 귀 바깥쪽을 꾹 눌러주면서 참는 중이에요.

중간에 약을 한 번 더 먹었는데도 깨끗히 안 낫네요.  

 

한달째 안 낫는 외이도염, 좋은 방법 없을까요?

이게 처방받은 귀 물약인데 처음보다 나아지긴 했지만 막 그렇게 큰 효과는 없는 것 같아요. 약효 좋은 물약 있나요? 

 

아침마다 귀 관리해주는 것도 참 불편하고... 

원래 외이도염은 낫기까지 이렇게 오래 걸리는 걸까요? 

약 먹어도 그때뿐인 것 같은데 확실하게 나을 수 있는 좋은 방법 없을까요? 

 

9
0
댓글 13
  • 프로필 이미지
    오키드
    일단 각질 일어난 곳에 배아로반 바르시고
    다른 약으로 처방 받아 드셔보세요
  • 프로필 이미지
    합격기원
    고생이 많으시네요
    약을 지속적으로 드시고 바르는 것도 오래 발라야 나아지는거 같아요
    지금 드시는 약이랑 바르는 약이 별로 효과가 없다면 
    병원 가셔서 말씀드리고 다른 약으로 처방 받아보시면 좋겠어요
    그대로 두면 나중에 재발 가능성도 높지 않을까요?
  • 프로필 이미지
    HEE
    외이도염이 한번 걸리면 비염처럼 완치가 힘든 걸로 알고 있어요ㅠㅠ
    저도 외이도염 걸렸던 적이 있어서 남일같지가 않네요.
    이미 급성 외이도염으로 진단받고 약까지 다 드셨는데 한달째 증상이 이어지고 있다면 그냥 가볍게 넘어갈 상황은 아닌 것 같아요. 외이도염은 원래 재발도 흔하고, 염증이 완전히 가라앉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경우도 있거든요.
    1. 먼저 귀 절대 손대지 마세요!
    외이도염이 잘 낫지 않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가 자꾸 귀를 후비거나 긁는 습관이에요. 
    살짝만 건드려도 상처가 다시 생겨서 회복이 늦어져요. 
    간지럽더라도 긁지 않는 것이 최선이에요.
    귀 바깥족으로 눌러주는 것도 좋진 않아요.
    2. 물에 닿지 않게 하세요.
    샤워할 때 물이 들어가면 습해져서 균이 더 번식할 수 있어요. 
    저는 그래서 샤워할 땐 귀막를 하거나, 바셀린 묻힌 솜을 살짝 막아두고 했어요.
    3. 귀 약 재진료 받아보세요.
    먹는 약은 끝났다고 하셨지만, 외이도염은 안약은 더 길게 쓰기도 하거든요.
    증상이 계속된다면 이비인후과에서 다시 상태 확인 후 추가 처방을 받는 게 좋아요.
    4. 습도와 환경 관리 해주세요.
    건조하면 귀 안이 갈라지고 각질이 생기면서 더 가렵거든요.
    반대로 너무 습해도 세균이 잘 번식해요. 
    집에서는 너무 건조하지 않게 가습기를 쓰되, 귀 속에 물은 안 들어가게 관리해주세요.
    5. 진물과 딱지는 관리해주세요.
    귀를 건들지 않는 것이 좋긴 하지만 만약 진물과 딱지가 또 생긴다면 
    손이나 면봉으로 닦아내지 마시고, 병원에서 전문적으로 깨끗한 기구로 귀 청소 받으시는게 귀 건강에 좋아요. 
    결론적으로는 한달째 낫지 않는다면 약이 듣지 않았다기보다는 아직 완전히 아물지 않은 거예요. 외이도염은 재발과 만성화가 흔해서 원래 치료가 오래 가는 경우가 많아요ㅠㅠ 저도 낫는 데까지 한참 걸렸어요. 다시 이비인후과 가셔서 재진료를 받아서 현재 귀 상태를 확인하는 게 가장 안전할 것 같네요~
  • 프로필 이미지
    R=VD
    습진이 일어난 걸 보니 만성으로 가는 길인 것 같아요ㅜㅜ
    면역력 많이 떨어지신 거 같은데 면역력 챙기시고 다른 이비인후과 가보세요
  • 프로필 이미지
    찌니
    한 달째 낫지 않는 외이도염 때문에 많이 불편하시겠어요.
    일반적으로 외이도염은 1~2주 안에 호전되지, 증상이 한 달 넘게 지속된다면 만성 외이도염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어요 현재 약을 다 복용했는데도 가려움증이 남아있다면 염증이 완전히 해결되지 않았을 수 있어요
    가장 중요한 것은 현재 상태를 다시 전문의에게 진찰받는 것입니다. 이비인후과에 재방문하셔서 정확한 상태를 확인하고, 그에 맞는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아요
    집에서 할 수 있는 관리로는 가렵더라도 귀를 긁거나 후비지 마세요. 덧나거나 2차 감염이 생길 수 있어요
    샤워나 머리를 감을 때 귀에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하고, 물이 들어갔다면 드라이어의 찬바람을 이용해 귀 속을 잘 말려주세요.
    이어폰이나 헤드폰 사용은 귀 속 습도를 높여 염증을 악화시킬 수 있으니 잠시 사용을 멈추는 것이 좋아요
    염증이 만성화되지 않도록 꼭 다시 병원에 가보세요
    
  • 프로필 이미지
    안레몬
    한달째라면 오래가긴하네요. 이비인후과 중에서도 귀전문이 있어요. 검색해서 다시 진료보는게 어떨까요. 전문으로 보는곳이 확실히 잘 보더라구요.
  • 프로필 이미지
    박성진
    힘드시죠 주도 만성인지 귀솟이 간지럽고 각질이 많아요  못욕후 더 심해서 물이 귀에 안들어가게 조심하게되요 외이도염은 귀속을 청결히하시고 약복용잘하고 연고 잘 바르시면 나아요 심하면 다른병원도 가보세요
  • 프로필 이미지
    명잔걸
    예쁜귀가 아프 많이 속상하시겠어요
    빠른 쾌유 빕니다
  • 프로필 이미지
    민준&예슬맘♥
    한달째면 넘 불편하셨을듯... ㅜㅜ
    약을 바꿔보시는것 추천합니다ㅠㅠ
    처방받으신 약은 잘 챙겨 드시고... ㅠㅠ
    머리감거나 샤워하신 후엔 드라이로 귀도 잘 건조해주시고ㅜㅜ 절대 손으로 면봉으로 건들지 마셔요~ 저희 딸아이도 수영하면서 계속 물이 들어간 느낌에 새끼손가락으로 귀를 건들었는지 부었더라구요... 물약보다는 소독해주신 후에 에트로반?이런 약 발라주신게 다거든요... 집에 있음 바르면 된다고... 재발은 건들면 또 되는 듯해요...
    얼른 낫길 바랍니다. ㅠㅠ
  • 프로필 이미지
    파워퀸
    마음이 많이 아프시겠어요.
    치료하는데 시간이 필요하더라구요.
  • 프로필 이미지
    임★선
    한 달 넘게 외이도염이 낫지 않으셨다니 얼마나 불편하고 답답하셨을지 충분히 공감됩니다.
    자꾸 손이 가는 것도 참기 어려우셨겠어요.
    
    
  • 프로필 이미지
    OK
    외이도염이 쉽게 잘 낫지 않더라구요.
    그 각질은 귀지가 아니라서 절대 건드리시면 안 됩니다!
  • 프로필 이미지
    은하수
    외이도염으로 힘드셨겠어요 
    보통은 2주안에 낫는다고 하는데요 
    한달이상 낫지 않는다면 만성 외이도염일 수 있어요 
    이비인후과에서 집중 치료 받으시는게 제일 좋을거 같아요 
    집에서 귀를 파거나 닦지 않으시는게 좋구요 병원에서 외이도 세정 건조 유지 관리를 받아주세요 
    필요한 경우 항생제 성분이 포함된 약제 투여가 필요할 수 있고 약 복용해 해야할 수 있어요 
    얼른 나으시기 바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