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알리서 산 한복 입고 갔는데”…머리 아프다는 딸, 왜 그런가 봤더니😫

헐...

그러지맙시다!

설이라 애들 한복이나 장신구 많이들 구매하셨을텐데 ..

알리에서 판매된 한복, 장신구등이 국내 안전성 기준에 부적합한 것으로 발표가 되었네요

이런 옷들은 빨면 괜찮아지는걸까요?

직접적으로 피부에 닿는건데 정말 무섭네요 

알리에서 한복이나 장신구 구매하셨다면, 잘 확인하시고 조심하세요~ 

 

 
 
중국 온라인 플랫폼 알리에서 팔린 설맞이 어린이용품 9종이 국내 안전성 기준에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제품은 폼알데하이드가 국내 기준치 대비 4배를 넘게 검출되기도 했다.

24일 서울시는 어린이 한복 7종, 장신구 5종, 완구 1종을 대상으로 유해 화학물질 검출 여부와 내구성을 검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어린이용 한복 5개 제품에서 pH와 폼알데하이드가 국내 기준치를 초과했다.

여아 한복 상의에서는 폼알데하이드가 국내 기준치 대비 약 4.5배 초과하기도 했다.

어린이용 한복 장신구 3개 제품도 문제가 있었다.

머리띠 큐빅에서 납이 국내 기준치 대비 8.1배 초과 검출됐고, 어린이용 댕기 장식품은 끝부분이 날카로워 안전성에 문제가 있었다.

장기간 접촉 시 피부염이나 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아릴아민’이 1.8배 초과 검출된 머리띠도 나왔다.

뱀 모양의 어린이 블록 완구 1개 제품은 기계적·물리적 시험에서 국내 기준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이 또한 날카로운 끝부분이 어린이에게 상해를 입힐 위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가 된 9개 제품 모두 알리에서 유통됐다.

시는 지난해 4월 9일 해외직구 제품 안전성 검사 결과를 발표한 것을 시작으로 23차례, 1621개 제품에 대한 검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172개 제품이 국내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다.

시는 올해도 해외직구 플랫폼 제품에 대한 안전성 검사를 추진하고 월 1회 검사 결과발표와 유해 제품에 대한 판매 중지 요청을 이어갈 계획이다.

올해부터는 유해성이 확인된 제품의 재유통 점검을 강화한다.

시 차원의 정기적인 재유통 점검 시스템을 도입할 방침이다.

안전성 검사 결과는 서울시나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다.

송호재 서울시 민생노동국장은 “체계적인 안전성 조사와 재유통 점검을 통해 소비자들을 보호하겠다”고 말했다.

<출처 헤럴드경제>

2
0
댓글 8
  • 프로필 이미지
    하루=즐겁게+행복하게+웃으며✌
    한복은 이쁜데요 
    정말 머리가 아플정도인가요 
    아이들 입는것인데 좀 더 신경 써야 할것 같네요 
  • 프로필 이미지
    안레몬
    저는 알리 테무 한번도 구매한적 없어요. 몇번이나 문제되는 제품 판다길래 신뢰가 안가더라구요. 특히 아이들 장난감에 중금속 범벅이라던데요.
  • 프로필 이미지
    오둥씨
    에구 먹는거 입는거에 장난치면 안되는데
    한번 팔고 말면 다라는 식으로 만드나봐요
    중금속 기준치 초과라니 무섭네요
    뭐든지 안전함이 보장됐으면 좋겠어요
  • 프로필 이미지
    깐데또까
    한복은 이쁘긴한데...
    옷도 그렇고 장난감 학용품등
     몇가지도 있다보니 전 알리 지웠어요
  • 프로필 이미지
    은하수
    세상에나 머리 아픈 이유가 있군요 
    조심해서 사야겠어요
  • 프로필 이미지
    땡땡이
    아고 이런ㅠㅠ
    이러면 입히기도 힘들지요ㅠ
  • 프로필 이미지
    앱톰
    아.. 역시 중국산...
    절대 그냥 입혀서는 안될 듯해요..
    독성도 많고 냄새도 나고...
  • 프로필 이미지
    앱톰
    중국 중산층은 중국을 탈출하고 있다..
    그 뉴스가 중국안에서는 통제를 당하고 있다고 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