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일사일언] 참기름과 김가루는 적당히!

[일사일언] 참기름과 김가루는 적당히!

 

[일사일언] 참기름과 김가루는 적당히!© 제공: 조선일보
 

자주 가는 백반 집이 있다. 

노부부가 운영하는 작은 식당이고 테이블이 다섯 개밖에 없다. 

늦게 가면 줄을 서야 하는 불편함이 있지만 그래도 반찬이 다섯 가지나 나오고, 

국도 매일매일 바뀌고 생선구이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괜찮은 대안이 없을 때는 

무조건 그 백반 집에 가서 점심을 먹는 편이다.

 

 

나는 밥 먹을 때 반찬을 골고루 먹어야 우리 몸의 영양이 균형을 이룬다고 생각하는 편이다.

 요즘 물가가 많이 오른 탓도 있지만 설렁탕 집이나 해장국 집에 가도 반찬이 깍두기밖에 없고,

순댓국 집에 가도 반찬이 김치랑 깍두기밖에 없기 때문에 더더욱 반찬이 많이 나오는 

그 백반 집을 선호하는 편이다.


그 백반 집 사장에게는 ‘참기름’과 ‘김가루’에 대한 자기만의 철학이 있다.
 어쩌다 비빔밥이 나오는 날이면 손님들이 참기름에 엄청 집착한다는데, 
 
‘시골에서 직접 짠 참기름’이라고 적어 놨더니 무조건 많이 넣으려고 하는 손님들이 있다고 한다. 
 
참기름은 적당히 넣어야 향도 좋고, 다른 음식 재료와 조화를 잘 이뤄서 맛을 더 살려주는데, 
너무 많이 넣으면 느끼해지고 다른 재료 맛까지 죽이기 때문에 절대 많이 넣으면 안된다!”고 
수십 번 말해도 손님들은 ‘괜히 참기름 아끼려고 하는 소리’라고 오해하고 무조건 많이 넣는다고 한다.
 
 

김가루’도 마찬가지인데, 김치 볶음밥이나 제육 볶음밥에는 김가루를 살짝 뿌려서 먹으면 더 맛있기 때문에 취향에 따라 뿌려 먹으라고 테이블에 김가루 통을 놨더니 무조건 많이 넣으려는 손님들이 있다고 했다. 뭐, 손님 취향이 그렇다는데 말릴 수도 없고. 

 

“김가루 너무 많이 넣으면 김가루 맛이 강해서 김가루 맛밖에 안나요. 조금만 넣으셔야 더 맛있어요.” 백날을 얘기해도 일단 “듬뿍” 넣고 보는 손님이 대부분이라고 했다.

 

살다 보면 우리 인생에도 참기름, 김가루 같은 존재가 있고, 또 그게 필요한 순간이 있다. 존재만으로 정말 고맙고 감사한 것들이지만 과해지면 본질을 흐리게 하고 ‘본연의 맛’마저 앗아가는 수가 생긴다.

 

 

 

이재국·방송작가 님의 스토리

6
0
댓글 6
  • 프로필 이미지
    성민
    참으로 올바른 인생 삶의 지표
    감사 함니다
    이런 글을 이해 할수 있어 돌아 보니
    황혼길에 접어 들어 있군요!
    • 프로필 이미지
      하루=즐겁게+행복하게+웃으며✌
      작성자
      황혼길~ 
      뒤로 돌아볼수 있는 여유로움이 가득한 시간인거죠
      너무 아둥바둥 쉴곳없이 앞만 보고 달리는 저에게 
      필요한 여유로움 이네요 
    • 프로필 이미지
      성민
      70세는 요즘 젊은 노인이지요?
      즐겁게 살려고 이제는 노력 중!
    • 프로필 이미지
      하루=즐겁게+행복하게+웃으며✌
      작성자
      그럼요 맞는 말씀이시네요~
      뭐든 맘에 달린거잖아요
      오늘도 무더위 연속이네요
      화이팅하세요 
  • 프로필 이미지
    지영도영
    ㅎㅎ 공감되네요
    뭐든 적당한게 좋은데 항상 넘치게 하니 문제가되는것 같아요
    • 프로필 이미지
      하루=즐겁게+행복하게+웃으며✌
      작성자
      뭐든 넘치다는 것은 지나친다는 것과
      같은거 같아요 
      적당히 어려운 단어죠 
  • 삭제된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