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천식약도 듣지 않는 '이 병', 치료길 열리나 이재원 기자 (jwl@kormedi.com)

천식약도 듣지 않는 '이 병', 치료길 열리나

이재원 기자 (jwl@kormedi.com)
 
 
 
난치성 호흡기질환인 '호중구성 천식'에 효과를 보이는 새로운 치료법이 발견됐다. 이 병은 기존 천식치료제에도 증세가 개선되지 않아 관리에 어려움을 겪었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생명과학부 유지환 교수, 한승한 박사, 연세대학교 윤주헌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황대희 교수, 현도영 박사 공동 연구팀은 천식의 염증 반응을 낮추는 세포군을 발견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IF 14.7)》 최신 호에 게재됐다.

천식은 호흡곤란을 유발하는 만성 염증성 폐 질환으로, 숨이 오가는 기도가 좁아지거나 부종이 생겨 공기가 폐에 닿기 어려워지는 질환이다. 흡입 및 전신 스테로이드를 사용해 치료하는데, 스테로이드를 고용량으로 투여해도 효과가 미미한 난치성 천식 중 하나가 ‘호중구성 천식’이다.


호중구성 천식의 진행은 호중구의 과도한 활성에 의해 악화한다. IL-23 사이토카인과 Th17 염증세포의 신호 경로가 발병의 핵심 요소로 알려졌으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마우스 질환모델과 단일세포 유전자(RNAseq) 분석을 통해, IL-23/TH17에 의한 과염증 유도를 억제하는 면역세포군(CD39+CD9+ 대식세포)을 처음으로 발견했다.

 

호중구성 천식을 앓는 마우스에서는 CD39+CD9+ 대식세포의 수치가 1% 이하였지만, IL-23의 활성을 억제하는 항체를 주입했을 때는 5%까지 증가했다. 또 기관지 내 호중구 비율이 90%, Th17 세포는 80% 감소했다.

이어 CD39+CD9+ 대식세포를 주입했을 때 호중구 비율이 62%, Th17 세포는 63% 각각 줄었다. 이러한 수치 감소는 연구팀이 발견한 특정 면역 세포군이 호중구성 천식을 완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유지환 교수는 “이번 연구는 호중구성 천식의 발병 원인, 치료법 등 전반에 걸친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IL-23 활성 억제제와 특정 세포군(CD39+CD9+ 대식세포)을 통해 호중구성 천식을 비롯한 난치성 천식 환자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난치성 호흡기질환인 '호중구성 천식'

 

다행히 주위에 천식환자가 없어서 

이거보면 기침이 사정없이나오던데요

 

치료약이 나오면 도움이 많이 되겠네요 

11
0
댓글 8
  • 프로필 이미지
    감사와행복
    천식에 대한 정보 감사합니다 
    난치성 호흡기 질환 환자는 환절기는 더 고생할거 같아요 즐건 불금보내세요 
  • 프로필 이미지
    우블리에
    
    좋은 정보네염^^
    저의 엄마가 천식이 있으신데  치료약이 빨리 나왔으면 좋겠네염
  • 프로필 이미지
    ..💕하니(0:01발송)
    난치성 호흡기질환인 '호중구성 천식 치료제가 개발되었나봐요 많은분이 고생사시던데 참 잘된일인듯 합니다 좋은정보  감사드립니다
  • 프로필 이미지
    믿음소망사랑❤
    난치성 호흡기질환인 '호중구성 천식 치료제가 개발되었나봐요
    요즘 같이 우울한소식들뿐인데 기분좋은소식 너무 감사하네요
     많은분이 고생하시던데 정말 잘된일인듯 합니다 
    이제 고생하시는분들 웃으며사시면 좋겠네요
    하루=즐겁게+행복하게+웃으며님
    행복하고 좋은정보  감사해요~~
  • 프로필 이미지
    걷자구
    감기만 걸려도 기침때문에 너무너무 괴로운데
    어휴 이 병 걸리면 얼마나 일상생활이 힘들까요.
  • 프로필 이미지
    은하수
    난치성 호흡기질환 천식약도 듣지 않고 힘든 질환이군요
    치료약이 시급하네요 
  • 프로필 이미지
    bi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치료길이 열리면 좋겠네요 
  • 프로필 이미지
    임★선
    난치성 호흡기 질환인 경우에 너무 힘든 시간을 보내겠네요. 빨리 이런 난치성 도 없어질 수 있게 약이 나왔으면 좋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