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 저도 이 책 읽어보고 싶어요!
나이가 들어도 건강하게 오래 살고 싶은 마음, 누구나 있으시죠?
그런데 문제는… 알고 있어도 실천이 어렵다는 점입니다.
운동을 해야지, 잠을 잘 자야지, 스트레스를 줄여야지…
머리로는 잘 알고 계셔도, 실제 생활에선 쉽게 무너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제가 최근에 읽은 책이 있는데, 《저속노화 마인드셋》은 바로 이런 문제의 본질을 짚어주는 책입니다.
‘마인드셋’은 어떤 상황이나 세상을 바라보는 사고방식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저속노화밥 교수님으로 유명한 정희원 교수님이 쓰신 이 책은 건강은 ‘몸’보다 ‘마음’에서 시작된다고 강조합니다.
저속노화는 다이어트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삶에 적용되는 얘기라고 해요!
저속노화 뜻, 단순히 '천천히 늙는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이 책에서는 저속노화를 단순한 노화 방지나 외모 관리 개념으로 보지 않습니다.
오히려 ‘몸이 망가지는 속도를 늦추고 삶의 기능과 즐거움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설명합니다.
길게 길게 두 발로 걸어다니며 하고 싶은 거 하는 삶을 위해서죠.
그리고 그 핵심은 ‘몸’이 아니라 ‘마음의 속도’를 늦추는 데에 있다고 말합니다.
즉, 건강한 삶을 만들기 위해서는
운동이나 식단보다 먼저, 마음의 회복 루틴을 다잡아야 한다는 것이죠.
건강한 사람은 다르게 ‘생각’합니다
왜 건강 정보를 잘 알고 있음에도 병원에 자주 가게 되는 걸까요?
왜 운동의 중요성을 알면서도 계속 미루게 되는 걸까요?
이 책에서는 그 이유를 이렇게 설명합니다.
“지금 내 몸이 고장났다는 걸 알면서도, ‘괜찮겠지’ 하며 외면하기 때문”입니다.
정 교수님은 이렇게 강조하십니다.
“지금의 나를 돌보는 것이, 미래의 나에게 투자하는 길입니다.”
저속노화 마인드셋 책이 말하는 핵심 4가지
1. 수면은 회복의 시작점입니다
제대로 자지 못한 날은 이미 몸이 고장난 상태라고 보셔야 합니다.
건강 루틴은 수면을 최우선으로 둘 때 시작된다고 강조합니다.
2. 식사는 정신과 연결됩니다
저속노화식단은 단순히 ‘덜 먹는’ 것이 아닙니다.
‘마인드풀하게 먹기’와 ‘뇌 건강 중심 식사’를 통해 감정 조절과 인지 회복에 초점을 둡니다.
그래서 저속노화밥도 결국 뇌와 마음을 위한 식사로 설명됩니다.
저속노화 밥이란?
렌틸콩 : 귀리 : 현미 : 백미 = 4 : 2 : 2 : 2
이렇게 밥을 지으면 밥만 먹어도 한끼 단백질이 충족된다고 해요!!
교수님이 유튜브에서 보여주신 아침밥 예시입니다.
3. 운동은 ‘정서 연결’이 핵심입니다
억지로 하는 운동은 오래 지속되지 않습니다.
‘기분 전환을 위해 걷는다’, ‘생각을 정리하려고 스트레칭한다’
이처럼 감정과 연결된 운동이 더 오래 가고 효과적입니다.
정희원 교수님은 러닝을 꾸준히 오랫동안 하셨다고 해요.
4. 마인드셋의 전환이 필요합니다
책에서 가장 인상 깊은 메시지 중 하나는 이겁니다.
“지금의 내가 미래의 나와 연결되어 있다고 느낄수록, 건강 실천율이 높아진다.”
단순한 이론이 아니라, 실제 뇌과학 연구로도 입증된 내용이라고 해요!
저속노화 교수 정희원의 말말말💬
정희원 교수님은 단순히 의학 정보를 전달하는 데 그치지 않습니다.
건강, 심리, 철학, 행동과학을 아우르는 통합적 메시지를 전하십니다.
“워런 버핏은 콜라도 마시는데 왜 장수하냐고요?”
→ 유전보다는 매일의 습관이 훨씬 중요하다고 설명하십니다.
“건강해지려면 뭔가를 사야 하나요?”
→ 건강은 소비가 아닌, ‘행동’으로 쌓는 것이라고 강조하십니다.
늙지 않는 사람들의 공통점은 결국 ‘회복력’입니다
책을 다 읽고 나면 이런 생각이 듭니다.
늙지 않는 사람들은 특별한 걸 하지는 않습니다.
대신, 빠르게 회복하는 힘을 가지고 있죠.
잘 자고
잘 먹고
감정과 몸을 연결하고
미래의 나를 떠올리며 오늘을 실천합니다.
이게 바로 저속노화 마인드셋의 핵심입니다.
✍️ 개인적인 감상 한 줄
이 책을 덮고 나서 제일 먼저 든 생각은,
“나는 지금 나를 얼마나 잘 돌보고 있는가”였습니다.
우리는 너무 바빠서, 너무 지쳐서
삶을 ‘고장’ 상태로 유지하면서도 괜찮다고 착각하며 살아갑니다.
노화는 피할 수 없지만,
천천히 늙는 삶은 오늘의 선택으로 만들 수 있다는게 책의 핵심인 것 같아요.
건강에 관심 있으신 분들 한 번 읽어보세요.
관련글 더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