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我为高胆固醇水平而烦恼。

前不久体检时抽血了。结果非常不好,我整天都很沮丧。是因为高胆固醇水平。没有脂肪肝,蛋白质水平也还可以,但胆固醇偏高,所以让我吃药。我感到非常沮丧。还没有到需要担心血管疾病的年龄,但胆固醇偏高从20多岁初就开始了。据说也有遗传的影响,是不是因为这个原因呢?我妈妈的胆固醇也很高,她也在吃药。我该怎么办呢?我担心会因此得大病。

3
0
评论 7
  • 个人资料图片
    애플
    저도 콜레스테롤 좀 높았는데 약대신
    운동먼저 해보라고 병원서 권유하셔서 매일
    걸으려고 노력했고 지금은 수치가  좀 내려가서 약 안먹고 있어요 
    그건 유전도 있더라구요 혈압 당뇨처럼..
    아직 젊으시면 운동해보시면 어떨까요 ?
    관리 잘하시면 되니까 넘 우울해 하지 마세요 ^^
  • 个人资料图片
    백설기
    저희 남편도 유전적인 영향으로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아서 고지혈증약 먹고 있어요.
    약 먹기 전에 식단이랑 운동으로 관리하고 3개월 뒤에 다시 검사받아보세요.
    그래도 수치가 떨어지지 않는다면 약으로 조절해야 될거예요.
    저도 작년에 수치가 좀 높아서 관리하고 나서 피검사 해봤더니 수치가 그래도 떨어졌더라구요.
    
  • 个人资料图片
    은하수
    아 고민 많으실거 같아요~
    저도 작년에 검사하니까 콜라스테롤 수치가 약간 높게 나왔어요. 저는 총콜레스테롤 수치가 219 (200미만 정상) 정상보다 약간 높게 나와서 
    건강 신호등에 '주의' 체크되어 있더라구요.
    저는 아직 주의 단계인데 
    약복용 권장하신하신다면 어느 정도 수치인지 궁금합니다.
    나이들수록 콜레스테롤이 높아질 수 있으니 조심하라고 해서, 식단관리하고 운동하고 있습니다.
    콜레스테롤이 많이 함유된 건 되도록이면 먹지 않으려고 하고 있어요. 예를들어 동물성 지방, 마요네즈 이런건 거의 안먹고요, 계란노란자는 하루 한개만 먹어요.
    콜레스테롤은 음식으로 섭취하기도 하지만
    몸 이곳저곳에서 필요로 하므로 간에서 합성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만약 LDL 콜레스테롤 (나쁜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은데 중성지방까지 높으면 위험도가 커진다고 하니,
    이 부분도 체크하시면 좋을 거 같아요
    참고로 중성지방은 식이조절 (탄수화물 과잉 주의) 약복용 등으로 비교적 쉽게 낮아질 수 있다고 합니다.
    
  • 个人资料图片
    서여사
    콜레스테롤은 식이랑 운동으로 먼저 조절해 보구... 그래도 만약 안될 경우에는 수치에 따라서 약 먹어야 하는 것 같더라구요. 병원에 가셔서 주기적으로 검사해보시고 노력해보세요. 
  • 个人资料图片
    문문맘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아 걱정되시겠지만, 유전적인 요인도 크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저도 그랬거든요. 가족력이 있다면 더욱더 건강 관리가 중요합니다. 우선, 전문의와 상담하여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규칙적인 운동, 건강한 식단, 스트레스 관리 등을 통해 콜레스테롤 수치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치료와 관리를 병행하며 꾸준히 노력하면 큰 병을 예방할 수 있으니 너무 불안해하지 마세요.
  • 个人资料图片
    주안맘0413
    저랑 비슷하신거 같아요. 저도 20대 초반 부터 ,,, 정확히는 23살때부터 건강검진이란걸 받기 시작햇는데. 그때부터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다고 나왔어요. 한번도 정상으로 떨어진적이 없었던거 같아요. 매년 건강검진을 받지만, 
    지금까지는 젊었으니,, 괜찮아 지겠지 하고 오메가 정도만, 챙겨 먹었는데. (사실 그걸로, 수치가 떨어지지 않더라구요) 
    근데...이제는 걱정이 되서 병원가서 약 처방 받았어요. 
    저는 보름치 받아왔는데.. 다 먹어서,, 다시 가서 약처방 받아 올려구요. 
    사실, 검사를 해보고 받는게 맞는데. 보름치먹고, 수치가 떨어지지 않았을꺼 같아요. 
    유저님도 병원가서, 약처방 받고,,, 드시길 권장드려요. 
    식습관을 한순간에 바꾸긴 어려우니, 약이라도 먹는게 맞다고 의사가 말씀하시더라구요. 
  • 个人资料图片
    케이스
    확실히 건강검진이 중요한 것 같아요.
    대부분의 문제는 검진으로 알게 되는 것 같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