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밥 먹고 바로 누우면, 살 정말 잘 찔까?

밥 먹고 바로 누우면, 살 정말 잘 찔까?

김서희 기자 님의 스토리
 
 
밥 먹고 바로 누우면, 살 정말 잘 찔까?
 

밥 먹고 나면 노곤해져 눕고 싶을 때가 있다. 일시적인 피로 해소에는 도움이 될 수 있겠지만, 건강 전반에 악영향을 줄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식후 눕기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식후 눕는 습관, 역류성 식도염·변비 유발

 

밥을 먹고 바로 누우면 역류성 식도염이 생길 수 있다. 식도와 위 사이에는 하부 식도 괄약근이 존재하는데, 하부 식도 괄약근은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지 않도록 조이는 역할을 한다. 음식을 먹거나 트림할 때 일시적으로 열린다. 식사하고 바로 누우면 일시적으로 하부 식도 괄약근의 압력이 낮아져 괄약근 기능이 저하된다. 이런 이유로 음식물과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고 식도에 염증이 생기는 역류성 식도염을 유발한다.

식후 눕는 습관은 변비도 불러온다. 식후에 바로 누우면 위, 십이지장 등 소화기관의 운동성이 떨어진다. 중력이 작용해 음식물의 위 배출 시간이 지연되기 때문이다. 특히 식후에 누워있다가 그대로 잠드는 습관은 치명적이다. 살이 찔 수 있어서다. 잠자는 동안에는 소화기관이 활발히 활동하지 않고, 기초적인 열량 소모도 이뤄지지 않는다. 위장 속에서 남은 음식이 천천히 소화되더라도 지방으로 몸에 축적이 잘 된다.

 

◇최소 두 시간 지나 눕기

 

식후 두 시간 이내에는 눕지 않는 게 좋다. 음식물이 위에서 소장으로 이동하기까지는 약 두 시간 소요되는데, 이때 누워 있으면 음식물의 이동 시간이 길어지고 위산이 과도하게 분비돼 음식물이 역류할 수 있다. 밥 먹고 적어도 두 시간은 앉거나 서 있는 게 좋다. 불가피하게 누운 자세를 취해야 하는 경우 최소 30분 이후, 상체를 비스듬히 15도 이상 세운 자세를 취하는 게 좋다. 또한 식사와 수면 시간 사이에는 세 시간 정도 충분한 간격을 둬 식후 바로 취침에 들지 않도록 시간적 여유를 두는 것을 권장한다

 

한편, 식후에 커피를 마시는 것도 건강에 해롭다. 식후 커피는 애써 섭취한 유익한 영양분을 빠져나가게 하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커피에 들어있는 카페인 성분은 철분 흡수를 방해한다. 철분과 커피 속 타닌이 만나면 타닌철이 생성되며 철분 흡수율은 절반까지 떨어진다.

 

===========

밥먹고나면 항상 졸리긴하죠 

바로 누우면 할머니가 "소"된다고 ㅋㅋㅋ 

많이 말씀하셨는데

졸려도 2시간 이후 낮잠이 좋네요 

5
0
bình luận 7
  • hình ảnh hồ sơ cá nhân
    주여니2
    위에 좋지 않을거 같아요
    2시간 있어야 하는군요
    • hình ảnh hồ sơ cá nhân
      하루=즐겁게+행복하게+웃으며✌
      nhà văn
      전 한 30분정도 생각했는데
      2시간이나 걸리는것 같아요 
  • hình ảnh hồ sơ cá nhân
    프카쟁이
    밥먹고 최소 30분이라도 눕거나 앉지 말고 움직이라고 하는데 ㅋ
    왜 이렇게 먹기만 하면 졸리는지.....;; 제가 소가 되어가는듯요...근데 소 은근 부지런한거 같은데~~
    
    • hình ảnh hồ sơ cá nhân
      하루=즐겁게+행복하게+웃으며✌
      nhà văn
      그쵸 전도 한 30분으로 알고 있는데,
      2시간 너무해요 ㅋㅋ
      ㅋㅋ 왜 "소"로 비유를 했을까요 ㅋ
  • hình ảnh hồ sơ cá nhân
    강미형
    소화도 안될것같고 30분이상 있다가 누워요
    먹으면 졸러요
  • hình ảnh hồ sơ cá nhân
    아침햇살77
    밥먹고 두싯간 지나 눞기하기 무리 안갈 거 같아요
    실천//
  • hình ảnh hồ sơ cá nhân
    은하수
    밥 먹고 바로 누우면 역류성 식도염 위험하네요 
    밥먹고 가볍게 산책하는게 좋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