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건강하려면 물 많이 마셔라? ‘이 질환’ 있다면 주의해야

물은 △혈액순환 △체온 조절 △노폐물 배출 △영양소 흡수 등 생존을 위해 필요한 인체의 기본적인 활동을 하는 데에 필수적인 요소다. 그런 만큼 물을 자주, 충분히 마시는 것이 건강에 좋다고 알려져 있는데, 특정 질환이 있는 사람은 물을 마시다 오히려 건강을 해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물을 많이 마시면 안 되는 대표적인 질환은 무엇인지, 어떻게 수분 섭취를 조절해야 하는지 알아보자.

 

 

물은 건강 유지를 위해 필수지만 일부 질환은 수분 섭취가 독이 될 수 있다

건강하려면 물 많이 마셔라? ‘이 질환’ 있다면 주의해야

물은 건강 유지를 위해 필수지만 일부 질환은 수분 섭취가 독이 될 수 있다

 

☆☆물 많이 마시지 않아야 하는 질환 3

 

1. 간경화증

간은 체내에서 단백질을 합성하고, 체액과 전해질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런데 △만성 간염 △지방간 △알코올 과다 섭취 등으로 인해 간이 딱딱하게 굳어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간경화증’이 발생하면 이러한 간의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한다. 특히 혈액 속 단백질인 알부민의 생성이 줄어드는 것이 문제다. 알부민은 혈관의 삼투압을 유지해 적정량의 체액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알부민이 부족하면 체액이 혈관 밖으로 새어나가 복수가 차고 전신에 부종이 나타날 수 있다. 체액이 과도하게 축적될 위험이 있는 만큼 평상시 수분 섭취량을 조절해야 하는 것이다.

 

2. 심부전

관상동맥질환이나 심방세동, 심근경색 등으로 인해 심장에 구조적·기능적 이상이 생긴 상태를 ‘심부전’이라고 한다. 심부전이 있는 경우 몸 전체에 필요한 혈액이 제대로 공급되거나 순환하지 못하는 것이 문제인데, 이때 수분 섭취를 많이 하면 혈액의 양이 계속 늘어나면서 부종을 유발할 수 있고, 심장에 더욱 무리가 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특히 발목이나 종아리 등 하체에 혈액순환이 되지 않아 퉁퉁 붓는 모습을 보이는 경우가 흔하며, 폐에 물이 차는 폐부종으로 호흡곤란을 호소하는 이들도 있다. 이러한 증상이 있다면 과도한 수분 섭취 대신 평소보다 적은 양의 물을 마시는 것이 중요하다.

 

3. 신부전

‘신부전’은 신장이 혈액에서 노폐물을 제거하고 몸 안의 수분량과 전해질 농도를 적절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상실한 상태를 말한다. 당뇨병과 고혈압의 합병증으로도 잘 알려져 있는 질환인데, 한번 발병하면 완전히 회복이 어려운 만성질환이라는 것이 특징이다. 신부전 환자가 물을 많이 마시면 소변으로 수분을 제대로 배출하기 어려운 만큼 체내 수분과 전해질의 균형이 깨져 저나트륨혈증과 같은 전해질 불균형이 발생하기 쉬우며, 부종과 고혈압이 악화되는 등 전반적인 건강이 악화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말기로 갈수록 이러한 증상도 더욱 심해지고 치료도 어려워지는 만큼, 물을 과도하게 마시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종류와 진행 단계에 따라 섭취량 조절…이뇨제 복용도 도움 돼

다만 이들 질환이 있다고 해서, 물을 아예 마시지 않는 것이 능사는 아니다. 몸속 수분이 너무 부족해져도 탈수로 인해 인체 기능이 저하될 수 있고, △신장 △간 △근육 △뇌 등 여러 신체 기관이 손상을 입을 수 있어서다. 이때는 스스로 수분 섭취량을 결정하기보다는 의료진과의 상의를 거쳐 수분 섭취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질환의 종류와 진행 단계에 따라 권고되는 수분 섭취량이 달라지기 때문. 소변이나 땀 등으로 수분을 배출하는 기능이 비교적 원활한 상태라면 너무 무리하게 수분 섭취량을 줄일 필요는 없지만, 이러한 기능이 이미 많이 망가져 있다면 질환이 더욱 악화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총 수분 섭취량은 순수한 물을 통한 섭취로만 계산하는 것이 아닌, 음식을 통한 섭취량도 고려해야 하는 만큼, 음식 섭취에도 더욱 신경을 써야 한다. 체내 전해질 균형을 깨뜨리고 수분 섭취를 유도하는 짠 음식 대신 싱거운 음식 위주로 섭취하는 것이 좋다. 만약 과일이나 채소와 같이 수분이 풍부한 식품을 먹는다면 한꺼번에 많은 양을 먹기보다는 조금씩 나눠 먹는 것이 더욱 도움이 된다. 특히 신부전 환자의 경우 과일과 채소에 들어 있는 당과 칼륨 등을 너무 많이 섭취하면 오히려 몸에 좋지 않을 수 있는 만큼, 영양소를 고려해 건강을 해치지 않는 선에서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미 몸속 수분이 너무 많이 쌓인 상태라면 이뇨제를 사용한 치료도 도움이 될 수 있다. 간경화증과 심부전 환자가 이뇨제를 복용하면 몸속에 과도하게 쌓인 체액을 배출하고, 부종을 완화하는 데에 어느 정도 효과를 볼 수 있다. 다만 신부전 환자의 경우 초기 단계에서는 이뇨제가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이미 신부전이 상당히 진행돼 투석 치료를 받는 경우라면 이뇨제가 큰 효과를 내기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안세진 하이닥 건강의학기자 hidoceditor@mcircle.biz

.....,...

물이 보약이라고 해서 하루를 시작하는

공복에서 물을 마시는데 물을 많이 마시지 않아야 하는 질환이 있는줄 처음  알았네요

간경화증 환자나 심부전.신부전증 환자들은

수분 섭취를 적정량을 드셔야 하네요.

 

3
0
コメント 14
  • プロフィール画像
    지민보라해💜
    물 마니 마심 좋아요.
    잘 읽어 보고 갑니다.
    유익한 내용이네요.
    • プロフィール画像
      저녁노을
      作者
      지민보라해님 반갑습니다.
      우리들 같이 건강하신분들은 많이
      마셔도 좋지만서도 많이 드시면
      안 좋은 환자들이 있네요.
      즐거운 저녁 시간 되세요.
  • プロフィール画像
    감사와행복
    오 물을 많이 마시면 안되는 질환이있군요 
    몰랐는데 정보 감사합니다 즐건 저녁시간되세요 
    • プロフィール画像
      저녁노을
      作者
      저도 처음 알았어요.혹시 세환자분이
      있음 물을 조금만 드려야겠어요.
      병원으로도 봉사를 나가니까 잘
      숙지하고 있어야겠어요
  • プロフィール画像
    임★선
    신부전이 있는 사람들은 조심해야 되겠네요.
     무조건 많이 마신다고 좋은 건 아니네요
    • プロフィール画像
      저녁노을
      作者
      간질환이나 신부전.심부전이 안좋은
      사람은 물을 적정량만 드시라고요.
      물이 무조건 좋은것은 아닌것 같아요.
  • プロフィール画像
    거친 찔레꽃
    물도 자기몸에 맞게 먹어야
    한다고 들었습니다
    무조건 많이 마시면 위험한 사람도
    있다고 물건강정보 잘보고갑니다 
    • プロフィール画像
      저녁노을
      作者
      저는 물은  무조건 좋은줄 알았어요
      무엇이든지 적당히가 좋네요
      하물며 물까지 적당힞먹어야 하네요.
  • プロフィール画像
    바다사랑태양
    통상 하루물 2L의 수분섭취를 권장하는데~~~
    수분섭취가 독이 되는 경우도 있군요...^^
    좋은 정보 잘 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ㅎ
    • プロフィール画像
      저녁노을
      作者
      통상  하루 2리터는 대부분 다이어트
      할때 많이 권장히더라구요
      수분 섭취가 무조건은 아닌것 같아서
      놀랐어요.
  • プロフィール画像
    깐데또까
     심부전과 신부전이 다르네요...
     같은건줄 알앗어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プロフィール画像
    땡땡이
    조심해야 하는 질환도 있네요
    잘 보고 갑니다
    오늘도 수분 충전 잘 하세요
    점점 더워지네요~~
  • プロフィール画像
    아침햇살77
    참 의외네요
    간 쪽 질환자에겐...
  • プロフィール画像
    머랭이
    물 수시로 수분보충해야겟어요!
    많이많이 물마셔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