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밥 먹고 나서 하는 ‘이 행동’, 하루 종일 방귀 유발한다

밥 먹고 나서 하는 ‘이 행동’, 하루 종일 방귀 유발한다
 
ㅡ역류성 식도염

 

식후 눕는 습관은 역류성 식도염을 유발할 수 있다. 식도와 위 사이에는 하부 식도 괄약근이 존재하는데, 하부 식도 괄약근은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지 않도록 조이는 역할을 한다. 음식을 먹거나 트림할 때 일시적으로 열린다. 그러나 식사하고 바로 누우면 일시적으로 하부 식도 괄약근의 압력이 낮아져 괄약근 기능이 저하된다. 이런 이유로 음식물과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고 식도에 염증이 생기는 역류성 식도염을 유발한다. 

ㅡ변비‧비만 유발

 

식후 눕는 습관은 변비를 유발할 수도 있다. 식후에 바로 누우면 위, 십이지장 등 소화기관의 운동성이 떨어지게 된다. 중력이 작용해 음식물의 위 배출 시간이 지연되기 때문이다. 특히 식후에 바로 잠드는 습관은 더욱 치명적이다. 살이 찔 수 있기 때문이다. 잠자는 동안에는 소화기관이 활발히 활동하지 않고, 기초적인 열량 소모도 이뤄지지 않는다. 위장 속에서 남은 음식이 천천히 소화되더라도 지방으로 몸에 축적이 잘 된다. 

ㅡ방귀 횟수 늘릴 수도
 

밥을 먹고 바로 눕는 습관은 방귀 횟수도 늘린다. 몸 밖으로 나가야 하는 공기가 나가지 못하고 장 속에 남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음식을 급하게 먹거나 빨대를 자주 쓰거나 한숨을 자주 쉬어도 입을 통해 체내로 들어오는 공기량이 많아져 방귀가 잦아질 수 있다.

ㅡ식후 최소 2시간 지나서 누워야
 

따라서 식후 2시간 이내에는 눕지 않는 게 좋다. 음식물이 위에서 소장으로 이동하기까지는 약 2시간이 소요되는데, 이때 누워 있으면 음식물의 이동 시간이 길어지고 위산이 과도하게 분비되어 음식물이 역류할 수 있다. 밥 먹고 적어도 2시간은 앉거나 서 있는 게 좋다. 불가피하게 누운 자세를 취해야 하는 경우 최소 30분 이후, 상체를 비스듬히 15도 이상 세운 자세를 취하는 게 좋다. 또한 식사와 수면 시간 사이에는 3시간 정도 충분한 간격을 둬 식후 바로 취침에 들지 않도록 시간적 여유를 두는 것을 권장한다.

2
0
コメント 6
  • プロフィール画像
    애플
    식후 최소 2시간 눕는 거 잘 기억할께요 
    역류성 식도염은 알고 있었는데 변비 방귀는
    몰랐네요
    • プロフィール画像
      박효정
      作者
      저도 방귀는 처음 알았네요.
      여러모로 바로 누워있는건 좋지 
      않은 거 같아요. 
  • プロフィール画像
    저녁노을
    제가 소통하기전의 모습이네요.
    ㅎㅎ울 남편의 모습도 있고요
    소통하면서 식탁에 앉아서 핸폰을
    만지니까 허리가 펴져요
    전엔 쇼파하고  한몸이 되어서 살았는데
    울 남편 소통하는거 싫어 했는데
    좋은점 있다고 말해줘야겠네요
    • プロフィール画像
      박효정
      作者
      바로 눕지 않고 소통하면 너무 좋지요ㅎㅎ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 プロフィール画像
    아침햇살77
    식후 2시간 후 누워라..
    넵 잘 알겠습니다
  • プロフィール画像
    냥이키우기
    식후 눕는습관은 참안좋죠
    정보 감사합니다 잘보고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