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보험료 저렴해서 가입했는데 .. 이럴수가

금융당국이 이달부터 무·저해지 보험의 해지율 가정 가이드라인을 적용하면서, 주요 손해보험사들이 해당 상품의 보험료를 일제히 올렸다.

무·저해지 보험은 중도 해지 시 환급금이 없거나 매우 적은 대신 보험료가 낮다는 점에서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었던 상품이다.

하지만 보험사들이 해지율을 지나치게 낙관적으로 설정해 실적을 부풀렸다는 지적이 제기되자, 금융당국은 이를 바로잡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 그 결과, 보험료 인상이 불가피해졌다는 것이 업계 설명이다.

인상률은 보험사마다 차이를 보였다.

현대해상은 대표 상품의 보험료를 평균 7.8% 인상했고, 삼성화재는 6.3%, KB손보는 5.0%, DB손보는 4.1% 인상했다. 일부 상품은 인상폭이 30%를 넘기기도 했다.

 

40대 남성 기준 통합보험 보험료는 KB손보가 전월 대비 32.7%나 올랐고, 삼성화재와 DB손보도 두 자릿수 인상률을 기록했다.

보험료 급등 소식이 알려지자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이럴 거면 왜 저렴하다고 했느냐”는 반응이 잇따랐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기존에 해지율을 지나치게 낙관적으로 추정했던 보험사들이 이번 조정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며 “반면, 보수적으로 추정했던 회사는 인상 폭이 작거나 일부 상품은 오히려 보험료가 내려갔다”고 설명했다.

GA(법인보험대리점) 업계에서는 보험료가 보험 선택의 핵심 요소로 작용하는 만큼, 상품 간 가격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해 보험사들은 역대 최대 실적을 올렸지만, 보험사들의 지급여력비율(RBC)은 오히려 큰 폭으로 하락했다.

삼성생명, 한화생명, KB손보 등 주요 보험사의 지급여력비율은 일제히 떨어졌고, 일부 중소 보험사는 금융당국 권고 수준인 150%를 간신히 넘기거나 그 아래로 내려갔다.

이 같은 현상은 무·저해지 보험 해지율 가이드라인이 반영되면서 가용 자본이 줄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시장금리 하락과 보험부채 할인율 인하 역시 보험사의 재무 건전성에 부담을 주는 요인이 됐다.

보험사들은 후순위채와 자본성 증권 발행을 통해 자본 확충에 나서고 있다. 지난해에만 8조 6천억 원 규모의 자본성 채권이 발행됐고, 올해도 발행이 이어질 예정이다.

 

고물가와 고금리로 생활비 부담이 커지면서 보험 계약을 유지하지 못하는 소비자들이 빠르게 늘고 있다.

삼성생명이 자사 설계사를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서도, 보험 해지의 가장 큰 이유로 ‘경제적 부담’이 꼽혔다.

특히 무·저해지 상품은 과거 ‘저렴한 보험료’를 앞세워 판매됐지만, 이번 보험료 인상으로 오히려 가계 부담을 키우는 결과를 낳았다.

보험사들은 재무 건전성 강화를 위한 불가피한 조치였다고 설명하지만, 소비자들은 충분한 안내 없이 추가 비용만 떠안게 됐다는 입장이다.

전문가들은 보험료 산정 방식과 상품 구조 전반에 대한 재정비가 필요하며, 소비자의 신뢰를 회복하지 못하면 시장 자체가 위축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

 

한푼이라도 줄여볼려고 보험도 조정하고 다시 상담도 받고 하는건데..

 

자기들 멋대로 보험료 올려서 내라고 하면.. 내야 되는 불쌍한 소비자들..

 

결국은 보험사만 좋은거네요... 

2
0
コメント 14
  • プロフィール画像
    우블리에
    제가 가입한 메리츠는 악덕 보험사에 없네염
    그래도 해마다 물가 상승에 반영해 올리긴
    하니 그런가 보다 하네염
    • プロフィール画像
      뉴페이스
      作者
      보험을 들때 많은 고민을 하고 가입을 
      하는데 급작스럽게 돈들이 올라가면
      당황스럽죠~
  • プロフィール画像
    땡땡이
    보험료가 가계부담 무지되지요
    갱신으로 인해서 인상되는 폭도 너무 크더라구요
    보험을 안 들 수도 없고 골치입니다ㅠㅠ
    • プロフィール画像
      뉴페이스
      作者
      보험을 안들어서 힘든 사람들을 본사람들은
      보험을 들 수 밖엔 없는데.. 그게 또 들다보면ㅠ.ㅠ
  • プロフィール画像
    깐데또까
     보험 안들수도 없고, 보험 잘 모르면 또 
     많이 당하기도 하고요 ㅠ.,ㅠ
      갱신은 무조건이니 ;;;
    • プロフィール画像
      뉴페이스
      作者
      맞아요 보험을 안들수는 없고 상담 받아도 뭔소리인지 
      헷갈릴때도 많고 말을 듣고 넣다 보면 금액도 커지는데.. 이렇게 납부금들이 올라가버리면 힘들죠~
  • プロフィール画像
    고우경
    보험료 너무 비싸죠 특히 실비 매년 너무 많이 오르더라고요 엄청 부담스러워요 그렇다고 해지 할수도 없고 말이죠
    • プロフィール画像
      뉴페이스
      作者
      돈내라고 하는 데로 돈을 내야 되는
      현실이 너무 웃기네요。。。
  • プロフィール画像
    프카쟁이
    저도 종신보험 하나 달랑 들어놓고 거기에 실손특약 해놨는데 
    계속 보험료는 오르고... 잘못든거 같은데 해지하자니 너무 손해보겠고;;; 난감해요
    • プロフィール画像
      뉴페이스
      作者
      저는 보험을 몇개씩 들어놨는데 이제 와서 해지하기가
      너무 손해라서。。ㅠ。ㅠ
  • プロフィール画像
    팝콘
    요즘 보험 조정광고도 엄청 많은데..
    그런거 보고 절약하려고 보험바꿨는데 돈올려서 납부하라 그러면 환장하죠
    • プロフィール画像
      뉴페이스
      作者
      그거 잘 못하면 보험료는 줄이는데 보험을 해지하고 다시 가입하는 식으로
      유도를 많이 한다고 하더라구요
  • プロフィール画像
    앱톰
    보험사만 돈벌어가는군요.. 처음에 고민하고 가입하면 뭘하나요..
    두자릿수 인상을 해버리는데......ㅡ,.ㅡ;;
    • プロフィール画像
      뉴페이스
      作者
      이래저래 알고 보면 보험사만 좋은거죠。。
      소비자를 지켜주는 건 없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