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이 동작’ 못 따라하면, 10년 안에 죽을 가능성 크다던데… 최지우 기자 님의 스토리

‘이 동작’ 못 따라하면, 10년 안에 죽을 가능성 크다던데…

최지우 기자 님의 스토리
 
 
‘이 동작’ 못 따라하면, 10년 안에 죽을 가능성 크다던데…
 

유연성이 부족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사망 위험이 더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브라질 운동의학클리닉 연구팀이 46~65세 성인 약 3000명을 분석했다. 연구팀은 플렉스인덱스 테스트로 참여자들의 유연성을 평가했다.

 

플렉스인덱스는 사람들의 유연성을 판단하는 검사 척도다. 

▲다리를 쭉 펴고 앉은 상태에서 상체를 굽힌 채 팔 뻗기 

▲오른손을 머리 위로 들어 왼쪽 어깨 쪽으로 뻗기 

▲바닥에 엎드린 뒤 팔을 위쪽으로 들기 등의 동작을 할 때 사용되는 관절의 유연성을 파악한다. 

 

스트레칭 동작을 참여자 스스로 할 때와 제 3자의 도움을 받아서 할 때 두 번에 걸쳐 진행해 종합적인 유연성 점수를 측정한다.

연구가 끝나는 시점에서 참여자의 10%가 사망했다. 생존자들은 사망자들에 비해 플렉스인덱스 점수가 약 10% 더 높았다.

 

분석 결과, 플렉스인덱스 점수가 높은 사람들은 점수가 낮은 사람들보다 향후 10년간 생존할 확률이 더 높았다. 플렉스인덱스 점수가 낮은 여성은 높은 여성보다 사망 위험이 약 다섯 배 더 높았다. 플렉스인덱스 점수가 낮은 남성은 높은 여성보다 사망 위험이 약 두 배 더 높았다. 

 

유연성은 균형과 함께 전반적인 신체 건강을 나타내는 지표다. 유연성을 단련해야 노화로 인해 근감소증 등 근육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해 신체를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유연성이 부족하면 낙상을 경험했을 때 골절을 비롯한 직접적인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회복 중 움직이지 못하거나 병원에 입원하면 근육 약화 및 건강 합병증을 겪을 수 있다.

 

연구를 주도한 클라우디오 길 S. 아라우호 박사는 “신체 유연성 감소는 중장년층의 낮은 생존율와 연관이 있다”며 “나이가 들면서 유연성이 감소하기 때문에 일상 속에 스트레칭을 포함시키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

 

발쭉 펴서 스트레치 하죠 

배가 다리에는 닿는 유연성은 없지만

손가락은 발에 닿아요 

좀더 습관 들이면 유연성이 생기겠죠

3
0
komentar 4
  • gambar profil
    천사의나팔
    놀라운 기사네요 ..
    아직은 유연성 좋다 자부하는데
    스트레칭도 잊지않고 꾸준히 해야겠네요
    
    • gambar profil
      하루=즐겁게+행복하게+웃으며✌
      Penulis
      유연성 좋으신가요?
      전 이거 다리 뻗기 엄마가 70세가 넘으셨는데
      너무 이거 잘하세요
      꼭하라고.. 저희 엄마거 건강 무지 신경쓰시는데
      다 맞는 말씀이네요 
  • gambar profil
    커넥트
    유연성이 좋지 않은 저로서는 눈물이나네요 
    스트레칭 그래도 꾸준히 하는편인데도 왜그럴까요 ㅋㅋㅋ
  • gambar profil
    아침햇살77
    아이고..
    저렇게 안되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