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Bagaimana saya bisa mencegah penyebaran konjungtivitis?

Bagaimana saya bisa mencegah penyebaran konjungtivitis?

Halo?
Suami saya menderita konjungtivitis parah.
Kontak langsung dan tidak langsung sama-sama buruk.
Saya khawatir terinfeksi.
Meski begitu, anak-anak itu masih muda.
Kalau kita mengisolasi diri sepenuhnya seperti yang kita lakukan saat menghadapi Corona, tidak apa-apa, kan?
Apakah konjungtivitis cepat membaik?
Mereka bilang kalau dalam tiga hari tidak membaik, saya harus kembali ke rumah sakit.

7
0
komentar 16
  • gambar profil
    OK
    결막염은 특이 바이러스가 아니라면 전염 안 돼요. 안심하시고 약 잘 넣으세요.
  • gambar profil
    똘망천사
    수건같으것 폭폭삶아서  쓰시구요 될수있으면 안대를 쓰시라고하세요  조심하는것이좋아요
  • gambar profil
    임★선
    결막염은 접촉으로 쉽게 전염되니까 가족 모두 조심하셔야겠어요.
    특히 아이들은 손으로 눈을 자주 만지니까 손 씻기 습관이 정말 중요하더라고요
  • gambar profil
    안레몬
    집에 아이 있으면 많이 걱정스럽지요. 처음 일주일이 가장 전염이 강해요 손씻기 자주 하고 수건 반드시 따로 쓰구요. 환자가 사용한 수건은 삶아야하고 손잡이 등등 접촉한 곳은 모두 소독해주시면 됩니다.
  • gambar profil
    GUNDDAM
    결막염이 어떤 종류냐에 따라 전염 여부가 달라져요.
    알레르기성 결막염: 전염 안 돼요
    세균성 결막염: 접촉을 통해 드물게 전염 가능
    바이러스성 결막염: 전염력이 가장 강함! 눈 분비물이나 손, 물건을 통해 쉽게 전염돼요
    같은 수건 사용, 손 안 씻고 눈 비비기, 같은 침구 쓰기 등 간접 접촉을 통해 감염될 수 있어요.
  • gambar profil
    HEE
    항생제 약 먹으면 금방 나아요.
    너무 걱정마시고 안약도 잘 넣으세요~
  • gambar profil
    말해뭐해
    결막염은 바이러스성일 경우 전염력이 높아요. 수건, 베개, 손 접촉 등 모두 조심해야 하고, 격리와 손 위생 철저히 하면 가족 감염은 막을 수 있어요.
  • gambar profil
    케이스
    결막염도 전염이 되는건가요? 전혀 그렇게 생각하지 않았던 것 같은데요?
  • gambar profil
    임형수
    약복용하고 위생에 신경쓰면 그렇게 오래 가지 않을 것 같습니다. 다만 바이러스성 결막염이라면 아이들은 쉽게감염될 수 있으니 따로 화장실을 사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gambar profil
    원희
    결막염은 초기 7~10일 사이에 전염성이 강하고 평균 2주 정도 전염성이 유지된다고 해요
    전염은 주로 손 접촉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항상 손을 청결하게 하고 세면도구 등은 따로 써야되요
    또 눈에 손을 대지 말고 이물질은 물티슈나 화장지로 제거하는 게 좋아요
    전염 기간동안 안대를 착용하면 분비물 배출을 막아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어 선글라스를 쓰는 게 좋다고 해요
  • gambar profil
    이지혜
    남편 분이 결막염에 걸리셨다면, 전염 가능성이 있으니 접촉을 최대한 피하는 게 좋아요. 손을 자주 씻고, 수건이나 베개, 식기 등도 따로 쓰는 게 안전합니다. 아이들과 완전히 격리하는 게 어렵겠지만, 가능하면 가까운 접촉을 줄이는 게 좋아요. 결막염은 보통 1주일 정도면 차츰 좋아지지만, 빨리 낫는 사람도 있고 조금 더 오래 걸리는 사람도 있어요. 증상이 심하거나 3일 이상 나아지지 않으면 병원에 다시 가서 확인하는 게 안전합니다. 눈을 만진 후에는 꼭 손을 씻고, 눈을 비비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중요해요.
  • gambar profil
    콘센트
    결막염 전염 안 되려면 대면 접촉을 피하고 물건을 같이 안 쓰는 게 좋아요. 물건 중에는 특히 수건을 같이 안 쓰는 게 제일 중요하다고 하더라고요. 
  • gambar profil
    H.J
    눈 결막염은 충혈의 정도라던지 상태에 따라서 전염성이라든지 어떻게 치료할지에 대해서도 달라질 수 있다고 해요.
    눈 결막염에 원인도 중요한데요. 단순히 세균성에 의해서 결막염이 생기면 면역력이 약할 때 생기는 거고 바이러스로 인해서 결막염이 생기면 그것이 전염성을 일으키기 때문에. 외부의 외출을 줄이시고 기침이라든지 손으로도 대거나 한뒤에는 다른 접촉성에 조심하셔야 해요. 그리고 알레르기 성결막염이라는건 있는데 전염성이 거의 없고 꽃가루라나 여러가지 먼지 진드기로 인해서 생긴 결막염이라고 해요. 다양한 원인도 있겠지만 그 결막염에 따라서 전염성이 있고 없고의 차이도 있기 때문에 정확하게 원인으로 전념이 된다고 하면 접촉성.
    을 주의하시고 각자 생활할 수 있는 공동 물건들도 청결을 세심하게 쓰셔야되요. 처방을 받은 인공눈물이라든지 점안제는 필요할 때만 하시고 의사가 알려준 시기 동안 꾸준하게 잘 넣으셔야 합니다. 그리고 계속적으로 안약을 넣는 게 아닌 시기를 정해서 넣기 때문에 그 이후의 상태에 따라서 다시 병원을 내방을 하셔서 점안제 처방유무정한답니다.그리고 건조함을 막기위해 인공 눈물로 처방을 받으셔야 해요. 정확한 진단은 좀 더 경과를 지켜보시고 내원하셔서 알맞은 처방을 받아보시길 바래요.
  • gambar profil
    찌니
    ​결막염은 접촉을 통해 쉽게 전염되므로, 남편분과 아이들의 접촉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해요 손 씻기를 자주 하고, 수건과 세면도구 등을 따로 사용하는 것이 좋아요.
    ​대부분의 결막염은 며칠 내에 호전되지만, 증상이 심해지거나 3일이 지나도 낫지 않으면 재진료를 받는 것이 좋아요. 빨리 나으시길 바랍니다.
  • gambar profil
    말해뭐해
    가족 중 결막염 환자가 있으면 정말 신경 많이 쓰이죠 
    특히 아이들이 있다면 더 조심하셔야겠어요!
    
    
  • gambar profil
    ssul0115
    결막염에 걸리셨군요
    아무래도 접촉을 최대한 안하는게 중요해요
    수건을 따로 사용한다던지 손 씻기도 정말 중요하구요
    안약도 잘 사용하셔서 얼른 나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