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추석에 먹다 남은 고기, 전, 떡… ‘이렇게’ 보관하면 식중독 위험

추석에 먹다 남은 고기, 전, 떡… ‘이렇게’ 보관하면 식중독 위험

신소영 기자 님의 스토리
 
 
추석에 먹다 남은 고기, 전, 떡… ‘이렇게’ 보관하면 식중독 위험
 

추석 명절을 보내고 난 후면 꼭 전이나 떡 등 음식이 남곤 한다. 이때 음식을 상온에 보관하거나, 랩을 씌워 냉장고에 넣는 경우가 많은데, 잘못하다간 식중독이나 장염 등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올해는 9월 중순까지 폭염이 이어지는 이례적인 날씨로, 더욱 주의할 필요가 있다.

 

◇상온 방치 말고 온도 맞춰 보관해야

 

보통 조리된 음식을 보관할 땐 따뜻하게 먹는 음식은 60도 이상에, 차갑게 먹는 음식은 빠르게 식혀 5도 이하에서 보관하는 게 좋다. 베란다에 조리된 음식을 보관하면, 낮 동안에는 햇빛에 의해 온도가 올라가 세균이 증식할 위험이 있다. 조리된 음식은 상온에 방치하지 말고 가능한 한 두 시간 이내에 섭취해야 하며, 보관된 음식도 반드시 75℃ 이상에서 재가열한 후 섭취한다.

◇기름진 음식, 랩에 닿지 않게 해야

 

음식에 랩을 씌워 보관할 땐 종류를 잘 살펴야 한다. 지방 성분이 많은 식품은 랩에 닿지 않게 해야 한다. 갈비나 수육, 전같이 기름진 음식은 랩과 상극이라 안전하지 않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가정용 랩에 사용되는 첨가제 대부분은 휘발성이 없어 직접 닿지 않은 식품으로는 스며들 수 없지만, 온도가 높을수록 잘 우러나며 기름에 녹는 성질이 있다. 랩 포장에도 '지방 성분이 많은 식품에는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사용할 것'이라 적혀 있다.

랩을 안전하게 사용하려면, 기름진 음식은 오목한 그릇에 넣어 랩에 직접 닿지 않게 포장하는 게 좋다. 기름진 고기를 육류로 쌌을 땐 저온에서 보관해야 하며, 냉장 보관하던 음식을 랩에 싸서 전자레인지에 데울 때도 랩이 식품에 직접 닿지 않게 한다. 공기가 통할 수 있게 약간의 틈을 남겨두는 것도 중요하다

.

◇떡, 냉동실에 얼려 둬야

 

떡은 가급적이면 바로 먹는 게 가장 안전하다. 상온에 둔 상태라면 최소 두 시간 안에 먹자. 떡을 오래 두고 먹고 싶다면 떡을 냉동실에 얼리는 것도 방법이다. 다만, 해동하는 과정에서 떡 본래의 식감이 떨어져 품질이 저하될 순 있다. 가정집 냉장고의 경우 가장 낮은 온도로 설정해 떡을 냉동시키는 게 좋다. 냉동한 떡이라도 해동 후 상한 떡의 특징을 보인다면 바로 폐기해야 한다. 해동한 떡을 다시 냉동해선 안 된다. 떡에 균이 증식할 가능성이 크다.

 

 

==============

냉동실에 두는것도 오래 두면 안되죠.

당분간의 보관은 상온보다,

냉동실이 두는게 좋아요 

2
0
commentaire 7
  • image de profil
    이닝지아
    명절음식 보관정보 감사합니다
    꿀팁이예요
  • image de profil
    원희
    명절음식 다 못먹으니 관리가 중요해요
    떡이 젤 안먹어지네요
  • image de profil
    김수영
    정보 잘보고가요 ㅋ
    굿밤되세용 
  • image de profil
    임★선
    기름진 음식을 랩으로 쌓는 경우가 많이 있던데 안 되나 봐요.. 항상 랩에다가 쉬었는데 그동안 잘 몰랐었나요
  • image de profil
    기름진 음식 랩에 닿지 말아야 하는 군요
    대형마트 냉동 대패 삼겹 같은거 담겨있는 플라스틱 용기들 랩으로 한겹 쌓여있던데;;
  • image de profil
    말해뭐해
    요즘은 음식을 많이 하지 않아서.
     성온에 보관하지 않아요.
  • image de profil
    bi
    꿀팁 정보 감사합니다 
    식중독 조심해야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