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좌골점액낭염을 아시나요?

2달 전부터 장시간  앉아 있으면  왼쪽엉덩이에서 통증이 느껴졌습니다.  그냥 근육이 뭉쳤나보다 하고  셀프 마사지를 했었지요.  그러다보면 조금 나아지고 해서 병원 가 볼 생각을 하지 않고  그냥저냥 지내왔지요.

그런데  엉덩이 통증이 심해지면서 무릎까지 통증이 오기 시작했고  딱딱한 바닥에는 통증 때문에 앉아 있을수도  양반다리도 불가능해졌지만  문제는 앉아있다 일어나서  제대로 걸을  수가 없었던 문제가 발생했어요. 최소 2~3분은 절뚝거리면서 걸어야했지요. 그 고통이란  이루 말할수가 없었어요.

결국  병원을 찾아  여러가지 검사 끝에  좌골점액낭염 진단을 받았지요. ㅠㅠ

지금  현재 3주정도의  약물, 물리치료, 주사치료, 체외충격파 치료를 받고 있지만  전혀 호전이 되고 있지 않아서 너무 힘드네요.

평소 저의  자세를  자세히  관찰해보니  잘 때도 옆으로 누워서 자고  있고  서 있을 경우에도 왼쪽 다리에 힘을 주고 서 있더라구요.  평소 저의 자세가  좌골점액낭염을 일으킨것 같아 참 속상하네요.

근육을 풀어주는  방법도 좋다고 해서 집에서  셀프마사지도 꾸준히 하고  있어요. 그런데  호전적인 치료는 가능하지만 완치는 불가능하다는 말을 들어서 너무 속상하네요.

이놈의 통증  때문에 밤잠도 설치게 되다보니  삶의 질도 현저히  떨어지고 있어요.

정말 완치는 어려운  질환일까요?

 

좌골점액낭염이란 좌골은 골반을 구성하는 뼈 중의 하나로  궁둥뼈라고도 부르며 의자에 앉았을때 바닥에 닿는 부분으로 좌골 아래에는  점액낭이 있어 움직임이나 마찰이 잦은 부위의 손상을  방지해 주는 역할을 하는데  이 부위에  자극이나 압력이 반복해서 가해지게 되면  염증이 생길 수 있는데 이것을 좌골점액낭염이라고 합니다.

좌골점액낭염을 아시나요?

  

좌골점액낭염은  장시간 오래 앉아서 일하는 직업군,  반복적인 움직임에 의한 손상, 직접적인 외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좌골점액낭염을 아시나요?

 

좌골점액낭염의 대부분이 보존적치료만으로도 호전이 가능하지만  빠른 시기에 진단과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약물치료,  물리치료,  주사치료, 집중형 체외파충격 치료의 방법이 있습니다.

 

좌골 점액낭염을 예방하려면 평소  오랜 시간 앉아있다면  1시간에 한 번정도는 일어나 굳은 근육을 풀어주는 것이  좋고 무엇보다 평소 자세 습관을 교정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오래 앉아 있을때  잘못된 자세를 하면 좌골에 체중 부하가 집중되어 점액낭을 자극할 수 있으므로 바른 자세로 교정해 주세요.

또한 엉덩이 부분에 근육이 없는 경우에도 하중이 가해져  좌골저액낭염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평소 걷기, 실내자전거, 수영 등으로 하체 근력을 강화를 시켜주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1
0
comentario 5
  • imagen de perfil
    미리내♡♡♡
    좌골점액낭염  처음 들어보네요. 그런데 참 무섭네요.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도 좌식 생활을 하는 곳이 참 많은데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많으실것 같아요.  평소 바른 자세 유지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면서도 참 힘들지요.
    저에게는 생소한 질환이지면  sun flower님의 고통이  느껴지네요.  빠른 호전이 나타나서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없어지시면 좋겠어요. 힘내세요.
    빠른 쾌유를 바랄게요.
    • imagen de perfil
      sun flower
      Escritor
      정말 힘들어요. 병원을 다녀도  호전이 되지 않으니까 마음만 급해지네요.  건강하게 살 수는 없나봐요. ㅠㅠ
  • imagen de perfil
    징징이
    저희 아빠도 좌골점액낭염 있으신데ㅠㅠ 장시간 오래 못 앉으시더라구요ㅠㅠ 
    • imagen de perfil
      sun flower
      Escritor
      그러시군요.  맞아요. 오래  앉아 있으면 너무 아프고  앉아 있다가 일어나면 제대로 걷기도 힘들어요.  아버님도 고생 많으시겠어요.
  • imagen de perfil
    미리내♡♡♡
    많이 불편하시겠어요. 처음 들어보는 병명이긴 하지만  너무 아프실것 같아요. 꾸준한 치료로 빠른 호전 바랄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