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Question) Pourquoi ai-je une sensation de picotement et de douleur dans la tête ?

Aujourd'hui, j'avais beaucoup de choses auxquelles penser au travail.

Il y a eu aussi des moments de colère intérieure, et la journée s'est écoulée comme ça.

Je ne savais même pas si j'allais y aller.

Après avoir terminé toutes mes tâches, je suis rentré chez moi après le travail.

Une sensation de picotement dans la tête et une douleur qui semble tirer à l'arrière du crâne

Les symptômes sont apparus.

Je pense que ça va mieux après avoir pris un analgésique et reposé.

Pourquoi cette sensation de picotement si désagréable se produit-elle ?

J'ai peur que cette douleur piquante comme aujourd'hui ne se reproduise encore.

Je suis inquiet. Y a-t-il quelqu'un qui a déjà vécu ces symptômes ?

Que dois-je faire ?

 

(Question) Pourquoi ai-je une sensation de picotement et de douleur dans la tête ?

 

 

 

10
0
Comments 22
  • This comment has been deleted.
  • Profile Image
    이대환(西泉)
    신경 많이 쓰고 스트레스로 인한 두통 같네요.
    이런현상 반복되면 이명도 생깁니다.
    직장생활하다보면
    신경 안쓰고
    스트레스 안받을수 없겠지만
    그래도 최대한 줄이셔야 합니다.
    자주 반복되서 이명이 생기면 약도 없어요.
    두통이야 약 먹으면 사라지지만
    이명은 한번 생기면 죽을때까지
    짜증이 생깁니다.
    그러니 지금부터라도 스트레스 해소 할수 있는 취미나 좋아하는 것을 찯아보세요...
    • Profile Image
      써니
      Author
      맞아요  스트레스 안받을수는 없고
      스트레스 해소를 잘해야 되겠어요~
  • Profile Image
    하루=즐겁게+행복하게+웃으며✌
    저요 저거의 만상으로 편두통
    머리에 딱따구리 있잖아요 ㅎ
    정말 이거 한번 행기면 
    몇일가던데요 ~ 좀 신경을 덜쓰라고 하는데
    그데 맘대로 잘 안되죠 
    • Profile Image
      써니
      Author
      그래요 일하면서 신경 쓸일이 많은데
      신경 예민한 저는 힘드네요 
      
  • Profile Image
    안레몬
    스트레스 과하게 받으면서 일어나는 편두통이네요. 뒷목 쫙 땡기면서 머리아프지요ㅜㅜ 타이레놀 먹고 자는 방법뿐입니다. 직장스트레스 아주 답이 없지요ㅜㅜ
    • Profile Image
      써니
      Author
      스트레스 과하게 받는날은 편두통 증상 있지만
      찌릿찌릿 증세는 편두통하고는 또 조금 
      다른 느낌이네요~
  • Profile Image
    은하수
    저도 가끔 머리가 찌릿할 때 있어요
    스트레스 받거나 뭐 잘못 먹어 속이 안좋을때 그런거 같아요 
    진통제 먹고 다스려지면 크게 문제될건 없을거 같은데요 
    사진처럼 귀 뒤쪽이 찌릿하면 후두신경통일 수 있대요 승모근 힘줄 사이 통과 부위가 좁아서 후두신경이 눌리면 그럴 수 있다네요 
    계속 반복되면 병원 꼭 가보세요
    보통의 진통제로 다스려져도 자주 반복되면 병원 가보는게 좋은거 같아요 
    
    • Profile Image
      써니
      Author
      또다시 이런 찌릿찌릿함 안오면 좋겠지만
      계속 이런 증세가 되면 병원 가봐야겠어요
  • Profile Image
    감자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서 그런거 같네요
    스트레스 받지 마시고 건강 잘 챙기세요
    • Profile Image
      써니
      Author
      일하면서 스트레스 안 받을수도 없는 일이고 
      해소를 잘 해야되겠지요 
      좋은밤 되세요~^^
  • Profile Image
    pop
    스트레스성 두통인것 같아요..날씨도 춥고 스트레스는 받고 할때저도 한번씩 머리 아프거든요...한번씩은 바깥도 좀 쳐다보시고 한숨을 깊게 들이쉬시고 해보세요 ^^
  • Profile Image
    땡땡이
    스트레스 받아서 그런가 보다요ㅠ
    써니님 스트레스가 만병의 근원이에요
    맘 편히 힘들겠지만 편하게 먹도록 해보세요~~ㅎ
    즐거운 하루 보내요~~~
  • Profile Image
    지영도영
    신경성 이신것 같아요
    집에서는 되도록이면 생각하지말구 푹쉬셔요
    • Profile Image
      써니
      Author
      네~  그래야죠 집에서는 크게 스트레스 
      받는일은 없는것 같아요 
      편하게 쉬고 있어요 ㅎㅎ
      감사합니다 
  • Profile Image
    이재복
    신경성 후두통인것 같습니다. 저도 같은 증상을 겪어 본 적이 있어서 글을 보자마자 알았습니다. 
    혹시 두통이 있는 위치가 관자놀이 나 뒤통수 아니면 옆통수쪽이 아닌지요? 전기가 오른 듯 찌릿찌릿 한 두통이 있다면 신경성 후두통 입니다. 
    보통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면 겪는 증상입니다. 
    딱히 치료법이 없기 때문에 스트레스 관리를 하는 게 가장 중요합니다. 저 같은 경우는 두통 약을 먹어도 잘 낫지 않았어서 엄청 고통스러웠답니다.
  • Profile Image
    임형수
    저도 신경을 많이 쓰거나 추위에 많이 노출되면 두통이 생기더라고요. 만성 편두통이 생기지 않게 조심하시고 스트레스 잘 푸세요.
  • Profile Image
    ..💕한밧드(0:01발송)
    저도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때 두통이 생기곤 하는데요. 정말 많이 심할때는 두통약으로 잠재우고, 조금 덜 아프면 족욕을 하거나 명상을 하거나 물소리나 숲소리 ASRM들으면서 자면서 회복합니다.
  • Profile Image
    이재철
    통상은 스트레스에 의한 일시적인 현상인데 주기적으로 장시간 지속되면 엠알아시 찍어보세요
  • Profile Image
    또이또이
    스트레스 받고 신경 쓰면 그런 거 아닌가요?
    저는 워낙 이런저런 두통을 많이 겪어서 그런가보다 합니다 ㅠㅠ
  • Profile Image
    들꽃7
    저요 저 10년저에 한달사이로 엄마, 어머님 두분다  뇌졸증으로 쓰러져서 병원에 계실때 관자머리 두통으로시작해서 뒷머리 통증까지 한달을 통증으로 악을 달고 살다가 신경과 예약하고 신경성 두통이라는 것을 알고 약 처방 받아서 복용하고 두통도 줄고 양쪽 부모님 케어 하면서 어느 정도 시간 지나니 두통도 사라졌어요
    찌릿찌릿한 두통은 신경성 두통일 경우가 많아요
    다만 번개맞은것 같은 두통은 꼭 응급실 가셔야해요 두통 없애는법은 되도록이면 신경 덜쓰고 그려러니 하라고 하시더라구요 마음을 편히 가지셔야해요 
  • Profile Image
    깐데또까
     스트레스때문이 아닐까요?
     업무로 신경을 많이 써야 하기에...  두통이 
    온것 같기도해요  
      저도 신경을 쫌만 쓰거나 스트레스 받음
    찌릿 쿡쿡찌를듯 통증이 심해서 진통제 먹어야 해요 
  • Profile Image
    숲과 나무
    써니님 안녕하세요 ^^
    님의 통증이 나타나는 현상을 보면,
    내부적으로 열받는 일과 회사의 신경쓸 일이 많아서라고 하셨군요!
    전 충분한 휴식과 숙면을 권하고 싶네요~
    그리고 스트레스 상황도 
    가급적 회피하시길 권하고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