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콜린성 알러지, 두드러기 가지고 계신분들 은근 많으시죠

콜린성 알러지는 과도한 운동, 정신적 스트레스나 뜨거운 목욕 등으로 체온이 상승되는 경우에 발생한다. 일반적인 두드러기보다 크기가 작은 것이 특징이며, 대부분 1~2 mm 크기의 좁쌀 같은 병변이 여러 개 발생한다. 

 

콜린성 두드러기는 가려움보다는 따가운 통증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하지만 전 가려울때도 있어요.

 

인체 내에 기본 기능을 조절하는 자율신경계 중 체온을 조절하는 피부 교감신경계에 오작동이 일어나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 급격한 체온변화나 스트레스에 반응 하는거 같아요~ 

 

자주 생기지 않지만 한번씩 생기면 일주일 이상 부풀어 오른 피부가 가라앉지 않을때도 있고 몇시간 내로 가라앉을때도 있더라구요 최근엔 좀 덜하지만 한동안 심했을때가 있어서 

 

정보 공유 합니다

 

치료

수년간 산발적으로 지속된 후 소실되는 경과를 보이기 때문에 수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으나, 지속적인 가려움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을 경우 약물치료를 고려해볼 수 있다.
콜린성 두드러기 이러한 증상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 즉, 과도한 운동이나 뜨거운 물 목욕을 피하고, 증상이 심하거나 오래가는 경우 예방적으로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할 수 있다.

경과/합병증

체온이 급격히 상승하는 상황을 회피하고, 악화 인자를 제거한다면 대부분 자연 소실된다.

예방방법

원인 인자와 악화 인자의 제거가 가장 중요하다. 체온이 급격히 상승하는 상황을 회피하고, 악화 인자를 제거해야 하며, 과도한 운동이나 뜨거운 물 목욕을 피해야 한다.

식이요법/생활가이드

가려움이나 통증 발생시 일상생활에서 쉽게 시행할 수 있는 조치로는 해당 부위에 가벼운 냉 찜질을 시행하거나 두드리는 것이다. 피부를 차갑게 하는 것은 가려움증을 유발하는 신경매체들의 분비를 줄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므로 국소적으로 가려운 곳에 냉 찜질을 하거나, 로션을 냉장고에 넣어 차갑게 하여 가려울 때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증상이 발현한 부위를 심하게 긁으면 피부 장벽의 손상이 발생하여 2차 감염이 가능하며, 피부를 자극하여 증상의 악화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병변 주위를 두드려서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이 좋다. 이것은 신경회로에 가려움증 대신 통각을 전달하게 하여 잠시나마 증상을 호전시키는 것이다.

 

 

0
0
Comments 6
  • Profile Image
    이현진
    콜린성 알러지 두드러기에 관한 정보 잘 보고갑니다
    혹시 모르니까 이거 보면서 조심해야겠네요
    • Profile Image
      충효원투쓰리맘
      Author
      넵 이게 머 조심 한다고 안생기고 하는게 아니라 온도 변화에는 노출되면 언제든 생기는거라 더 스트레스예요
  • Profile Image
    강아림
    콜린 성 알러지 두드러기에 관해서 정보를 잘 보고 가게 되네요 조심해야겠네요
    • Profile Image
      충효원투쓰리맘
      Author
      넵 전 길게 갈땐 이주씩도 가고 하더라구요 얼굴에 생길땐 너무 스트레스예요
  • Profile Image
    가을이엄마
    원체 알러지가 자주 일어나 알러지검사도 하고 했었는데 원인은 못찾고, 약과 연고에 의존하는 제게 도움이 되는 정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Profile Image
      충효원투쓰리맘
      Author
      그러니깐요 ㅠㅠ 면역이랑도 관계가 큰거 같고 평소에 건강관리에 힘써야 겠어요